소화(笑話)에 속한다. 이 설화에는 「처첩의 남편 머리 뽑기 이야기」·「약 다리기 이야기」·「버선볼 받기 이야기」·「두루마기 짓기 이야기」 등이 있다.
「처첩의 남편 머리 뽑기 이야기[妻妾爭拔白黑髮說話]」는 젊은 첩은 남편의 흰머리를 뽑아 젊어 보이도록 하고, 본처는 첩이 멀어지게 하기 위하여 남편이 늙어 보이도록 검은 머리를 뽑아 결국 남편은 대머리가 되고 말았다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조선 중기의 학자 이수광(李晬光)의 『지봉유설』 권16 해학(諧謔)에도 수록되어 있고, 최근에 채록된 설화에도 있다. 중국 송나라 팽승(彭乘)의 『묵객휘서(墨客揮犀)』 권6에도 이와 비슷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이 이야기에는 남편의 사랑을 독차지하기 위하여 애쓰며 서로 시기, 질투하는 처첩의 심리와 그 중간에 끼어 곤란을 겪는 남편의 모습이 해학적으로 그려져 있다.
「처첩의 약 다리기 이야기」는 한약을 자주 먹는 남편이 본처가 약을 달여다 줄 때에는 그 양이 많았다 적었다 하는데, 첩이 달여다 줄 때에는 그 양이 늘 일정하므로 좋아하다가, 본처는 약을 달여진 그대로를 가져다주지만 첩은 양이 많으면 버리고 적으면 물을 타서 가져다준다는 것을 알고 실망하였다는 이야기이다.
「버선볼 받기 이야기」는 남편의 버선볼을 받을 때 마지막 매듭을 한 실을 본처는 이로 물어서 끊는데, 첩은 꼭 가위를 찾아다가 끊더라는 이야기이다.
「두루마기 짓기 이야기」는 본처가 꿰맨 두루마기는 늘 앞자락이 우는데 첩이 꿰맨 것은 앞자락이 편편하고 보기가 좋아 그 솜씨를 칭찬하곤 하였는데, 비를 맞고 나서 보니 풀칠만 한 첩의 것은 풀칠한 것이 다 떨어져 입을 수 없게 되었는데, 본처가 지은 것은 실로 꿰매었으므로 이상이 없더라는 이야기이다.
이들 이야기 뒤에는 첩을 더 사랑하던 남편이 본처의 진실을 알고 본처에게로 마음을 돌린다는 내용이 첨가되어 있다.
이 이야기는 내용보다는 겉치레로 남편을 기쁘게 하여 사랑을 받으려는 첩의 심리와 말없이 남편을 받드는 본처의 진실이 대립되어, 결과적으로 일시적인 겉치레보다는 깊은 진실이 인정을 받는다는 진리가 담겨 있는 설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