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화비 ()

목차
관련 정보
홍성 대원군 척화비
홍성 대원군 척화비
근대사
유적
조선후기 흥선대원군이 서양 제국주의 세력의 침략을 경계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세운 비석을 지칭하는 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흥선대원군이 서양 제국주의 세력의 침략을 경계하기 위해 전국 각지에 세운 비석을 지칭하는 용어.
내용

1866년 프랑스가 조선을 침략한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흥선대원군은 “서양 오랑캐가 침입해 오는데 그 고통을 이기지 못해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팔아먹는 것이며, 그들과 교역하면 나라가 망한다.”는 내용의 글을 반포, 쇄국 의지를 강하게 천명하였다.

그 뒤 1871년 미국이 조선을 침략한 신미양요가 일어나고, 미군이 강화도에서 조선군과 싸운 뒤 4월 25일 퇴각하자, 흥선대원군은 쇄국정책을 더욱 강력히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 종로 네거리, 경기도 강화, 경상도 동래군 · 함양군 · 경주 · 부산진 등을 포함 전국 각지에 척화비를 세웠던 것이다.

그 비석에는 병인양요 이래의 구호인 “서양 오랑캐가 침입하는데 싸우지 않으면 화친하는 것이요, 화친을 주장하는 것은 나라를 팔아먹는 것이다(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의 12자가 큰 글자로, 그 옆에 “우리들 만대 자손에게 경고하노라! 병인년에 짓고 신미년에 세운다(戒我萬年子孫 丙寅作 辛未立).”가 작은 글자로 각각 새겨져 있다.

그 뒤 1882년 임오군란 때 흥선대원군이 청나라에 납치되자, 이 틈을 탄 일본공사의 요구로 모두 철거되었다. 그 가운데 서울에 세워졌던 척화비는 1882년 8월 종로 보신각 부근에 묻혔다가 1915년 6월 보신각을 옮길 때 발굴되어 경복궁에 보관되었다.

비석의 높이는 서로 차이가 있어 부산의 것은 1.8m인 데 비해 함양군 함양읍의 것은 1.2m이다. 그러나 너비는 대체로 40∼45㎝이고, 두께는 대체로 25㎝ 정도이다.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를 갖추지 않은 통비(通碑)이다.

부산진에 건립된 것은 부산광역시 중구 동광동에 있는 용두산공원 내에 옮겨 세워져 있다. 함양군 함양읍과 안의면 옛 면사무소 안에도 각각 1구씩 보존되어 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일성록(日省錄)』
『서울육백년사(六百年史)』문화사적편(文化史蹟篇)-(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87)
『근대한미교섭사』(김원모, 홍성사, 1979)
『문화재총람』 중(문화재관리국, 1977)
『전국유적목록』(문화재관리국, 1971)
『한국사』최근세편(最近世篇)-(진단학회, 을유문화사, 1961)
『京城府史』(京城府, 193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