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송사지 부도 ( )

목차
관련 정보
울주 청송사지 부도 전경
울주 청송사지 부도 전경
건축
유적
국가유산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청송사터에 있는 조선시대 석종형 불탑. 부도.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청송사지부도(靑松寺址浮屠)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지정기관
울산광역시
종목
울산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97년 10월 09일 지정)
소재지
울산 울주군 청량면 율리 산107-4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면 청송사터에 있는 조선시대 석종형 불탑. 부도.
내용

높이 3.3m. 1997년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지대석(地臺石) 위에 기대석(基臺石)을 얹었는데 이 기대석의 앞면에는 신장상(神將像)의 머리부분만을 양각(陽刻)하였고 뒷면에는 수신상(獸身像)을 음각하고 양측면에는 화문(花文)을 음각하였다.

이 기대석 위에 복엽복련화대(復葉覆蓮花臺)를 얹고 그 위에 다시 단엽앙련화좌대(單葉仰蓮花座臺)를 받쳐 탑신을 안치하였다. 탑신의 밑부분에는 고사리의 문양을 새기고 상단에는 연꽃 봉오리를 새겼으며 이 봉오리 밑의 탑신에는 복련이 새겨져 있다.

또, 이 부도의 오른편에는 약간 작은, 같은 형의 부도가 있는데 탑신의 아래 부위에 고사리 문양이 있을 뿐 ‘瑞應堂眞治大師(서응당진치대사)’라고 음각되어 주목되나 진치대사가 어느 시대의 승려인지 분명하지 않다. 기대석의 사면에는 각 3구식(三軀式)의 화문을 음각하고 있다. 또, 왼편에도 1기의 부도가 넘어져 있었으나 1982년에 복원하여 현재는 3기가 나란히 잘 정리되어 있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중(中)(문화재관리국,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