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민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사역원 · 관상감 등 기술관청 소속의 관원.
목차
정의
조선시대 사역원 · 관상감 등 기술관청 소속의 관원.
내용

총명하고 민첩하다는 뜻인데, 사료에서는 연소총민(年少聰敏)으로 사용되고 있다. 사역원(司譯院)에는 한학·청학·몽학연소총민 각 10명, 왜학 연소 총민 10명을 두었으며, 과거 합격자를 천거해서 임명했다.

또한 이들은 취재 시험을 통해 사행(使行)에 참가할 수 있었다. 관상감(觀象監)의 총민은 모두 14명으로, 천문학 10명, 지리학과 명과학 각 2명이다. 각 전공의 첨정(僉正; 종4품) 이하 40세 미만인 자를 해당 관청에서 회권(會圈)하여 임명했다.

매월 각 학의 겸교수·교수·훈도가 취재 시험을 실시해서 점수와 근무 일수에 따라 우등자는 사용(司勇)에 붙이고 그 다음은 산료(散料:나누어 지급하는 봉료, 월급) 2삭(朔)에 붙였으며, 그 다음은 산료 1삭에 붙여 권장했다. 총민이 연삼차(連三次)에 우등하면 1계를 더해주었다.

참고문헌

『속대전(續大典)』
『육전조례(六典條例)』
『통문관지(通門館志)』
『서운관지(書雲觀志)』
집필자
이남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