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공익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 공부상서, 서북면병마사 등의 관직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이명
최공후(崔公詡)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공부상서(工部尙書)|우복야(右僕射)
내용 요약

최공익은 고려 전기 공부상서, 서북면병마사 등의 관직을 역임한 문신이다. 1098년(숙종 3)에 첨사부의 가령에 임명되었으며, 1102년(숙종 7)에 서경의 부유수로 재직하던 중 서경유수부에 소장되어 있는 서적을 검토하여 바치라는 명령을 받았다. 1106년(예종 1)에 공부상서로서 서북면병마사에 임명되었고, 1109년(예종 4)에는 우복야(右僕射)가 되었다.

정의
고려 전기 공부상서, 서북면병마사 등의 관직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최공익(崔公翊)의 가계나 생몰년에 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주요 활동

1093년(선종 10)에 『동인지문사륙(東人之文四六)』에 의하면, 주1」를 지었다. 1097년(숙종 2) 숙종이 교지(敎旨)를 내려 주2를 태자(太子)로 책봉하려 하였다. 이에 1098년(숙종 3) 숙종은 원자를 태자로 세우고, 태자를 위해 첨사부(詹事府), 좌춘방(左春坊), 연경궁사(延慶宮司) 등의 관청을 설치하고 관료들을 배치했는데, 이때 최공익은 태자에 관련된 일을 맡아 보는 첨사부의 가령(家令)에 임명되었다. 이때 첨사부 가령으로 활약함으로써 훗날 예종 대 정치적으로 성장하여 고위 관료로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1102년(숙종 7)에 서경(西京)부유수(副留守)로 재직하고 있었다. 이때 서경유수부에 소장되어 있는 서적을 검토하여 바치라는 명령을 받았다. 1106년(예종 1)에 공부상서(工部尙書)로서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에 임명되었으며, 1109년(예종 4)에는 우복야가 되었다.

고려사(高麗史)』에는 1104년(숙종 9)에 섭공부상서(攝工部尙書)에 임명된 최공익(崔公翊)이라는 인물의 기록이 1건 기재되어 있다. 최공후의 후(詡)자와 최공익의 익(翊)자가 유사하므로, 최공익은 최공후의 오기(誤記)일 가능성이 있다. 그렇지만 오기가 정확하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다. 만약 최공후가 최공익과 동일인이라면 최공후는 1104년에 섭공부상서로 재직하였던 것이 된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인지문사륙(東人之文四六)』
『해동역사(海東繹史)』
주석
주1

생일에 하사해 준 것에 사례하는 표문.

주2

아직 왕세자에 책봉되지 아니한 임금의 맏아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