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량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 후백제와의 일리천전투에서 활약한 고려 태조의 부하 장군.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주요 관직
보천군대장군 원윤
관련 사건
일리천전투(一利川戰鬪)
내용 요약

준량은 고려 전기 후백제와의 일리천전투에서 활약한 고려 태조의 부하 장군이다. 생몰년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936년(태조 19) 후삼국의 통일을 결정지은 일리천전투에서 보천군대장군 원윤으로서 보천군대장군 삼순 등과 함께 보군 1만 명을 거느리고 우군에 해당하는 우강(右綱)에 배속되어 전투에 참여하였다.

정의
고려 전기 후백제와의 일리천전투에서 활약한 고려 태조의 부하 장군.
가계 및 인적 사항

준량(俊良)의 가계나 인적 사항 등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주요 활동

936년(태조 19) 9월 고려와 후백제 사이의 최후의 큰 전투이자 후삼국의 통일을 결정지은 전투인 일리천전투(一利川戰鬪))에서 보천군대장군(補天軍大將軍) 원윤(元尹)으로서 보병에 해당하는 보군(步軍)을 지휘하였다. 일리천은 현재의 경상북도 구미시의 낙동강 지류로 주1되는데, 당시 태조 왕건(王建)이 지휘하는 고려군과 신검(神劍)이 지휘하는 후백제군이 일리천을 두고 대치하였다. 고려군은 중군, 좌군, 우군 등의 3군으로 편성되었으며, 예비 병력 격인 원병을 두었다.

준량은 보천군대장군 원윤 삼순(三順), 정조(正朝) 영유(英儒) · 길강충(吉康忠) · 흔계(昕繼) 등과 함께 보군 1만 명을 거느리고 우군에 해당하는 우강(右綱)에 소속되었다. 우강에는 대상 김철(金鐵) · 홍유(洪儒) 등이 지휘하는 마군 1만 명도 함께 배속되었다.

이외에 중군은 명주(溟州)대광(大匡) 왕순식(王順式) 등이 지휘하는 마군(馬軍) 2만 명, 유금필(庾黔弼) 등이 지휘하는 흑수(黑水) · 달고(達姑) · 철륵(鐵勒) 등 여러 번(蕃)의 정예 기병 9,500명, 우천군대장군(祐天軍大將軍) 정순(貞順) 등이 거느린 보군(步軍) 1천명, 천무군대장군(天武軍大將軍) 종희(宗熙) 등이 거느린 보군 1천 명, 간천군대장군(杆天軍大將軍) 김극종(金克宗) 등이 거느린 보군 1천 명으로 구성되었다.

좌군에 해당하는 좌강(左綱)은 견훤(甄萱) 등이 지휘하는 마군 1만 명, 지천군대장군(支天軍大將軍) 능달(能達) 등이 지휘하는 보군(步軍) 1만 명으로 구성되었다. 더불어 대장군 공훤(公萱) 등이 거느린 기병 3백 명과 여러 성의 군사 1만 4700명을 원병(援兵)으로 편성하였다.

고려군이 동원한 병력은 후삼국 전쟁 기간 가장 많은 병력이었다. 일리천전투는 고려군의 공세로 시작되었으며, 고려군이 대승을 거두었다. 후백제군 3,200명이 포로가 되었고, 5,700여 명이 전사하였다. 고려군은 패주한 후백제군을 쫓아 황산군(黃山郡)까지 진격하였으며, 결국 신검이 항복함으로써 고려는 후삼국통일을 이룰 수 있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갑동, 『고려 태조 왕건정권 연구』(혜안, 2021)
김명진, 『고려 태조 왕건의 통일전쟁 연구』(혜안, 2014)
류영철, 『고려의 후삼국 통일과정 연구』(경인문화사, 2005)
이기백, 『고려병제사연구』(일조각, 1968)
주석
주1

어떤 미상(未詳)의 물체에 대하여 그와 유사한 다른 물체와 비교하여 그 성질을 정함.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