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성 ()

목차
관련 정보
칠성신앙 / 밖칠성
칠성신앙 / 밖칠성
민간신앙
개념
비 또는 인간의 수명과 재물을 관장한다는 신(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칠성은 비 또는 인간의 수명과 재물을 관장한다는 신이다. 별을 신앙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인류의 보편적인 현상이다. 칠성신앙은 도교에서 북두칠성을 신앙하는 것에서 비롯되었는데, 고려시대에 기우제를 지낼 때 칠성신을 제사지냈다는 기록이 보인다. 기우제에서 칠성신을 모시는 관행은 고려·조선을 통해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어린아이의 단명을 막아주었다는 설화와 재물과 소원성취를 이룬 설화에서 보듯, 칠성은 수명과 재물도 관장하는 신이었다. 칠성신앙은 단순히 민간신앙에 머물지 않고 불교신앙에도 수용되어 오늘날 사찰 안에는 많은 칠성각이 남아 있다.

목차
정의
비 또는 인간의 수명과 재물을 관장한다는 신(神).
내용

이 신은 다양하게 신앙되는 신적 존재로, 원래 칠성은 천체의 하나인 별을 말하는 것이지만 전설적으로는 남두칠성과 북두칠성이 있다. 별을 신앙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우리 나라에 한하는 것이 아니고 상당히 보편적이다.

도교에서 천체를 신앙하는 것이 많은데, 그 중 특히 북두칠성을 신앙하는 칠성신앙이 우리 나라에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우리 나라에서 영성(靈星)을 신앙한 것은 『삼국지』 위지(魏志)에도 보이지만, 칠성을 모시게 된 것은 도교의 전래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기록은 고려시대에 와서야 비로소 보이는데, 조정에서 태일(太一)을 지낼 때 칠성신을 제사지냈고, 무속에서도 칠성신을 모신 것을 알 수 있다.

이규보(李奎報)의 『동국이상국집』에 수록되어 있는 장시 「노무편(老巫篇)」에 칠원성군(七元星君)을 모셨다는 내용이 보인다. 이 칠성신이 어떠한 기능을 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태일초(太一醮)에서 기우제를 지냈다는 점에서 기우의 대상신이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기우에서 칠성신을 모신 것은 고려 · 조선을 통해서 오랫동안 계속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궁중의례는 자연 민간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추측이 된다. 또한 민간신앙뿐만 아니라 불교신앙과도 융화되어, 불교 사찰 가운데에는 많은 칠성각(七星閣)이 남아 있어 신앙적 기능을 하고 있다.

오늘날 민속에서 보이는 칠성신의 기능을 종합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① 비를 비는 신앙과 관련되어 물로 상징되고, 비를 내리는 신이라 믿어진다. 농경민족인 우리 나라에 이 칠성이 중요한 신임에는 틀림없다. 비를 내리는 것이 하늘이라는 점에서 하늘을 상징하는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구체적으로 우리들의 생활과 아주 밀접한 비의 신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적 행사일인 칠석(七夕)에 비가 내리면 풍년이 든다고 하는 것은 단순한 비의 신화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불교적인 의미와의 결합이라는 것도 알 수 있는 점이다. 칠석에 대한 설화 가운데 비를 내리는 설화가 있고, 이것이 칠석 또는 칠성신과 결합한 것은 칠성신이 비의 신이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②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는 신으로 믿어진다. 다시 말해서 무병(無病) · 장수하기 위하여 이 신이 수호하여준다는 신앙과 관련되어 있다. 특히 어린아이의 수명을 수호하는 신으로 믿어진다. 이에 대해서는 단명(短命)의 운수를 타고난 어린아이의 수명을 관장하고 있는 칠성에 관한 신화가 있다.

남두칠성과 북두칠성이 마주 앉아서 바둑을 두고 있는 곳에 단명을 타고난 소년이 가서 장수를 부탁하여 북두칠성으로부터 수명을 연장을 받아왔다는 내용이다. 이 신화는 원래 중국에서 우리 나라에 전래 구전된 것이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북두칠성이 인간의 수명을 관장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장수의 신으로 되어 있다는 신화의 모티프이다.

이는 단순히 설화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고 민간신앙 가운데까지 관념화되어, ‘칠성님께 명(命)을 빈다’는 신앙이 있다. 특히 무속에서는 이 칠성신이 수명을 관장하는 신으로서 신격화되어 있다.

동해안지역에서 행해지는 칠성굿의 무가를 보면, “바람 타시고야 구름 타시고, 무지개 발로 서기지게 발로 하강하야, 인간을 살펴보시고, 언제든지 명을 주자 복을 주자, 있는 자손을 수명장수, 없는 자식도 불귀시고야……” 등으로 되어 있어 하늘에서 내려와 명복을 주는 신의 성격을 알 수 있다.

또한 전북 지역과 충청이남 지역의 씻김굿 가운데에는 <칠성풀이>라는 서사무가가 구연되는데, 여기서는 어머니가 한배에 아들 일곱을 낳아 버림받은 뒤 계모에게 죽을 고비를 넘긴 칠성님의 일곱 아들이 마침내 원수를 갚고 신으로 좌정하는 이야기이다. 이들의 직능은 역시 인간에게 수명장수와 복을 주는 것으로 되어 있다.

③ 재물과 재능에 관한 것을 관장하는 것으로 믿는다. 농사나 어업이 잘되기를 빌거나 재능이 뛰어나서 입신출세하고 과거에 급제하도록 칠성신에게 비는 신앙이 있다. 조선 태조가 소원성취하기 위하여 칠성에게 빌었다는 설화는 이러한 것을 말해준다.

특히 제주도에서는 무가 「칠성본풀이」에서, 절에 불공을 드려서 낳은 외동딸이 중의 자식을 잉태하였기 때문에 집에서 쫓겨났다가 뱀으로 변신하여 일곱 마리의 뱀을 낳았는데 모두 딸이었다. 막내딸이 뒤꼍 주저리 밑으로 들어가 부군칠성(밖칠성)이 되었고, 어머니는 쌀독으로 들어가서 부자가 되게 하는 안칠성이 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재물과 소원성취의 신의 기능을 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칠성신은 세 가지의 기능이 있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이것은 신의 기능이 아직 잘 분화되지 않은 복합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 같다. 그리고 그 기능이 민간신앙 가운데 아주 중요한 수명장수와 재물신앙 등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칠성 신앙은 단순히 민간신앙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고 불교신앙으로도 수용되어 사찰 안에까지 자리잡게 되었다. 사찰 안에 있는 칠성각은 이러한 중요한 민간신앙인 도교적 민간신앙을 받아들인 것이라고 보여진다. 민간신앙과 불교와 도교의 융화의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79호-줄포무악-(임석재, 문화재관리국, 1970)
『한국민속대관』 3-민간신앙·종교-(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2)
『釋尊·祈雨·安宅』(村山智順, 朝鮮總督府, 1938)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