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연 ()

목차
불교
인물
고려후기 진도 용장사 주지를 역임한 승려.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후기 진도 용장사 주지를 역임한 승려.
내용

탁연(卓然)의 호는 법운(法雲) 또는 운유자(雲游子)이다. 부친은 재상을 역임했던 최정분(崔正分)이며, 일찍이 왕을 모시는 내관으로 출사하였다. 필법이 뛰어나 몽골의 사신으로 선정되었는데, 사양하였다고 한다. 고종 때 순천 조계산(曹溪山)의 수선사(현 송광사)로 출가해 승려가 되었다. 진각국사 혜심(慧諶)의 법맥을 계승한 원오국사 천영(天英)은 그의 도반이다. 탁연은 진도 용장사(龍藏寺)의 주지로 있으면서 명필로 이름을 떨쳤는데, 혜심의 비를 쓰기도 하였다. 상주목사였던 최자(崔滋)가 백련사(白蓮社)를 중창할 때 승려 천책(天頙)의 부탁으로 도량당(道場堂)과 조사전(祖師殿), 허백루(虛白樓), 신청루(神淸樓) 등의 현판을 썼다. 남송 건경사(建慶寺)의 천태종 승려 법언(法言)과 교유하기도 하였으며, 남송의 불서인 『법화수품찬(法華隨品讚)』을 백련사의 사주 천책에게 전해주기도 하였다. 이규보(李奎報)와도 친분이 있었으며, 이장용(李藏用)이 김포 통진(通津)에 지은 산재(山齋)에서 김백일(金百鎰)·이송진(李松晉)과 같은 학사(學士)들과 교유하기도 하였다. 고려 후기 이제현(李齊賢)이 지은 문집과 조선시대의 문인 정두경(鄭斗卿)과 이호민(李好閔) 등이 지은 문집, 『동국승니록(東國僧尼錄)』 등에 탁연에 관한 사항이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동명집(東溟集)』
『보한집(補閑集)』
『오봉집(五峯集) 』
『익재난고(益齋亂藁)』
『호산록(湖山錄)』
『고려 후기 조선 초 불교사 연구』(황인규, 혜안, 200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