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족도 ()

목차
회화
개념
강물이나 계곡물에 발을 담그고 있는 선비나 은사의 모습을 소재로 한 고사인물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물이나 계곡물에 발을 담그고 있는 선비나 은사의 모습을 소재로 한 고사인물화.
내용

굴원(屈原)의 <어부사 漁父辭>에 “창랑의 물이 맑거든 갓끈을 씻고, 창랑의 물이 흐리거든 발을 씻는다(滄浪之水淸兮 可以濯吾纓 滄浪之水濁兮 可以濯吾足).”는 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세속을 떠난 은일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화면에 술을 받쳐 들고 있는 동자와 함께 그려지는 경우, 먼 여행에서 돌아와 발에 묻은 흙과 먼지를 씻어 낸다는 의미를 지니기도 한다. 간소한 자연경을 배경으로 하여 인물 중심으로 구성되며, 인물은 무릎까지 바지를 걷어 올린 다리를 꼬아 물에 담그고 있는 모습으로 그려지는데, 상체에 비하여 하체가 빈약하게 묘사된다.

중국에서는 북송 무렵부터 화제로 등장하여 청대에 간행된 ≪개자원화전 芥子園畫傳≫의 점경인물조(點景人物條)에 수록되어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 중기를 중심으로 다소 그려졌다.

유작으로 조선 중기의 이경윤(李慶胤)의 전칭작인 <고사탁족도 高士濯足圖>(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와 <탁족도>(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정(李禎)의 <노옹탁족도 老翁濯足圖>(개인 소장), 필자 미상의 <고승탁족도 高僧濯足圖>(개인 소장), 그리고 조선 후기 최북(崔北)의 <고사탁족도>(간송미술관 소장) 등이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한국회화대관』(유복열 편, 문교원, 1969)
「조선중기 수(水) 소재의 소경산수인물화에 나타난 도가적 예술관-관폭도,탁족도,조어도를 중심으로」(심영옥, 『동양예술』7호, 200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