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가지 ()

목차
불교
의례·행사
밀교의 행법 중 하나를 지칭하는 용어. 불교수행법 · 밀교행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밀교의 행법 중 하나를 지칭하는 용어. 불교수행법 · 밀교행법.
내용

깊은 산골이나 바닷가와 같이 인적이 드문 곳에서 가져온 모래를 깨끗한 물에 씻고 볕에 말린 다음, 깨끗한 그릇에 담아 밀교의식을 행하는 밀단(密壇) 위에 놓고 광명진언(光明眞言)을 독송하며 행한다.

우리나라에는 민간신앙에 황토(黃土)를 뿌려 도량(道陽)을 정화(淨化)하는 신앙형태가 있었는데, 이 같은 신앙형태와 습합되어 토사가지법이 사원 내에서 밀교의식으로 행하여졌다. 밀단 위에 올려 의식을 행한 모래를 ‘가지(加持)한 모래’라 하는데, 이같이 가지한 모래를 죽은 사람의 시신이나 무덤에 흩으면 그 가지한 힘으로 광명신(光明身)을 얻고 모든 죄보(罪報)를 면하여 극락세계에 왕생한다고 하여 성행하였다.

이 의식은 원효(元曉)의 『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에 기록된 이래 고려시대에 크게 성행하였으나, 밀교의식의 의궤가 조선시대에 허물어지면서 민간 신앙화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