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월산 패엽사 ( )

목차
관련 정보
패엽사
패엽사
불교
유적
북한 황해남도 신천군 구월산(九月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이칭
이칭
구업사(具業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남도 신천군 구월산(九月山)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창건된 사찰.
내용

일제강점기 31본산(本山) 중 하나로 7개 군 34개 사찰을 관장하였던 대본산(大本山)이었다. 신라 중기에 법심(法深)이 창건하였다는 설과 신라 애장왕 때의 고승 구업조사(具業祖師)가 창건하여 구업사(具業寺)라 하였다는 설이 있다. 그 뒤 신라 말에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한 승려가 서역(西域)으로 수도차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패엽경(貝葉經)을 갖고 귀국하여 이 절에 보관하였기 때문에 절 이름을 패엽사로 고쳤다고 한다.

그러나 1400년대 초기에 대화재를 입어 절이 황폐해지자, 신균(信均)·천오(天梧) 등의 승려들이 합심하여 황폐한 이 절을 복구하였다. 근세에 이르러서는 하은화상(荷隱和尙)이 대중창을 이룩하였는데, 그가 중창의 서원(誓願)을 세우고 당우(堂宇)를 복원할 때 아무도 도와주는 이가 없어, 혼자 힘으로 역사(役事)를 감당하여 오늘의 모습으로 가꾸었다는 일화가 전한다.

또한 이 절이 있는 구월산은 우리나라 4대 명산의 하나로서 단군(檀君)이 말년에 입산하여 산신(山神)이 되었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으며, 패엽사 경내에는 단군유적과 삼성전(三聖殿)이 있다.

산내 말사로는 월정사(月精寺)·도솔암(兜率庵)·월출암(月出庵)·지장암(地藏庵)·달마암(達磨庵)·봉림암(鳳林庵)·칠성암(七星庵)·백련암(白蓮庵)이 있다. 산외 말사로는 해주군의 신광사(神光寺)·북암(北庵)·운수암(雲水庵)·안양암(安養庵)·보발암(寶鉢庵)·정각사(正覺寺)·은적암(隱寂庵)·안수사(安壽寺)·동고사(東皐寺)·우명사(牛鳴寺) 등과 신천군의 묘각사(妙覺寺)·낙산사(洛山寺)·자혜사(慈惠寺), 장연군의 쌍계암(雙溪庵), 송화군의 수증사(壽增寺)·운흥사(雲興寺)·화장사(華藏寺), 은율군의 정곡사(停穀寺)·진봉암(鎭鳳庵)·원정사(圓井寺), 안악군의 고정사(高井寺)·연등사(燃燈寺)·수도암(修道庵), 재령군의 묘음사(妙音寺)·현사(懸寺) 등이 있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사찰전서』(권상로 편,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한국의 사찰』17 북한의 사찰(한국불교연구원, 일지사, 1978)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