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정초고 ()

한문학
문헌
조선 후기, 문인 임교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3년에 편집한 시문집.
문헌/고서
편찬 시기
1863년(철종 14)
저자
임교진(林喬鎭)
편자
임교진(林喬鎭)
편저자
임교진(林喬鎭)
권책수
5책
판본
필사본
표제
하정초고(荷汀草稿)
소장처
국립중앙도서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하정초고(荷汀草稿)』는 조선 후기 문인 임교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3년에 편집한 시문집이다. 총 5책의 필사본으로, 저자가 죽기 1년 전인 1863년에 스스로 편집한 책으로 추정된다. 부(賦)·시(詩)·서(序)·기(記)·설(說) 등 다양한 문체가 수록되어 있다.

정의
조선 후기, 문인 임교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3년에 편집한 시문집.
서지사항

불분권 5책의 필사본으로 궁(宮) · 상(商) · 각(角) · 치(徵) · 우(羽)로 이루어져있다. 권 1의 주1에는 각 권에 수록된 문체와 문체별 작품의 편 수를 기재한 「하정초고총목(荷汀草稿總目)」과 각 권에 수록된 작품명을 기재한 「하정초고목록(荷汀草稿目錄)」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저자가 죽기 1년 전인 1863년(철종 14) 스스로 편집한 듯하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과 내용

『하정초고』 1책은 부(賦) 2편, 시 147수, 2책은 시 137수, 서(序) 2편, 기(記) 5편, 3책은 주2 4편, 제문 5편, 서(書) 1편, 책(策) 1편, 주3 53편, 주4 12편, 주5 3편, 주6 · 상량문 · 전 각 1편, 4책은 설(說) 4편, 변(辨) 3편, 주7 2편, 행장 2편, 묘지 1편, 잡저 4편, 산언(散言) 46단, 5책은 학정(學訂)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에는 19세기 금강 유역에서 이루어졌던 조운(漕運)에 대한 견문과 체험, 풍경과 감회를 형상화한 작품들이 수록되었다.

서의 「소옹서(笑翁序)」는 허수(虛叟)와 자신의 대화체로 구성되어 있다. 임교진 자신이 여러 번 호를 바꾸었지만 실질에 상응함이 없어 차라리 소옹으로 하겠다는 호서(號序)이다. 계와 격은 대부분 주8이다. 「삼정대책(三政對策)」은 1862년(철종 13) 왕이 삼정의 보완책을 재야 학자에게 물은 것에 대한 답이다. 「대소년답인투지연격(代少年答人鬪紙鳶檄)」에서는 연싸움의 의의를 풍속과 함께 기록하고 있다.

시 「십무규훈해(十毋閨訓解)」에는 '여자가 마땅히 해야 할 행실과 옛날의 어진 부녀 중 스승으로 삼을 만한 인물의 기사를 모아 한글로 번역하여 한 책으로 엮고 『규학(閨學)』이라 한 바 있으나 내용이 주9. 마침 이면승(李勉昇)이 적은 열 조목 여자의 금지된 행실을 딸이 구하여오자, 그 뜻을 상세히 적고 한글로 번역하여 쉽게 읽히도록 하였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강시(史綱詩)」는 서와 칠언 192구로 되어 있다. 1848년에 지은 것으로, 중국 고대로부터 근세까지의 역사를 읊은 주14이며, 필요한 대목마다 주를 상세히 달았다. 아동들이 입으로 외워 역사와 주15를 숙지하도록 배려한 듯하다.

설 중에 「정전설(井田說)」은 주10의 제도를 정밀하게 분석한 글이고, 「기설(碁說)」은 바둑의 의의를 적은 것이다.

잡저는 대부분 도학(道學)과 학문의 자세에 대한 것이나, 주11 등의 과학 기술에 대한 기록도 실려 있다. 「학정」은 주13의 문자이다. 이뿐만 아니라 「오륜가(五倫歌)」와 「도덕가(道德歌)」에 대한 기록도 보인다. 저자 임교진이 지은 한글 가사 내지 시조로 추정되나 작품은 전하지 않는다.

『하정초고』의 「삼산지(三山志)」는 서와 「월촌산지(月村山志)」 · 「시포산전지(市浦山前志)」 · 「시포산후지(市浦山後志)」 · 「구수동산지(九壽洞山志)」와 주16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의 풍수설을 이기의 원리로 절충하여 묘터를 잡은 이유를 설명한 글이다.

참고문헌

원전

『조행일록(漕行日錄)』

논문

김승우, 「조선후기 금강(錦江) 유역의 조운(漕運)과 그 문학적 형상화- 『조행일록(漕行日錄)』과 『하정초고(荷汀草稿)』를 중심으로-」(『한국시가문화연구』 43, 한국시가문화학회, 2019)
문경호, 「임교진의 『조행일록』을 통해 본 1863년 성당창의 조운 실태」(『진단학보』 128, 진단학회, 2017)
주석
주1

책의 첫째 권. 우리말샘

주2

일정한 체계나 문장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되는대로 쓴 글. 대체로 지은이의 감정이나 사상이 꾸밈없이 드러난다. 우리말샘

주3

임금이나 왕후, 태자에게 올리던 글. 중국 한(漢)나라 때 이후 신년, 탄일(誕日) 등 기념일에 맞추어 축하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대체로 사륙변려체로 쓰였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시대 이후에 사용되었다. 우리말샘

주4

혼인할 때에 신랑 집에서 예단과 함께 신부 집에 보내는 편지. 두꺼운 종이를 말아 간지(簡紙) 모양으로 접어서 쓴다. 우리말샘

주5

관아나 벼슬아치가 임금에게 올리는 말. 우리말샘

주6

어떤 일을 여러 사람에게 알리어 부추기는 글. 우리말샘

주7

한문체의 하나. 의혹이나 비난에 대하여 답하기 위한 문체이다. 우리말샘

주8

남을 대신하여 작품을 만듦. 또는 그런 작품. 우리말샘

주9

글이나 말이 매끄럽지 못하면서 어렵고 까다롭다. 우리말샘

주10

고대 중국의 하나라ㆍ은나라ㆍ주나라에서 실시한 토지 제도. 주나라에서는 사방 1리(里)의 농지를 ‘井’ 자 모양으로 100무(畝)씩 9등분 한 다음, 그 중앙의 한 구역을 공전(公田)이라고 하고, 둘레의 여덟 구역을 사전(私田)이라고 하여 여덟 농가에게 맡기고 여덟 집에서 공동으로 공전을 부치어 그 수확을 나라에 바치게 하였다. 우리말샘

주11

원예 식물 번식법의 하나. 보통 잘라 낸 접본(椄本)의 물관부와 껍질 사이에 접지(椄枝)를 밀착하게 하여 헝겊으로 감고 겉에다 흙을 바르는 방법으로서 번식, 개화, 결실기를 빨리할 수 있다. 우리말샘

주13

풍수지리에서, 별자리의 모양과 방향을 보고 길흉을 점치는 일. 우리말샘

주14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제재로 한 시. 객관적으로 서술하기도 하고 주관적인 회고(懷古)로 그리기도 한다. 이승휴의 ≪제왕운기≫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5

전례(典例)와 고사(故事)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6

어떤 문제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한데 묶어서 하는 설명.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