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영한자전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문헌
1890년 언더우드(Underwood, H.G.)가 한국어를 영어로, 영어를 한국어로 풀이한 사전. 한영사전 · 영한사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한영영한자전』은 1890년 언더우드가 한국어를 영어로, 영어를 한국어로 풀이한 사전이다. 요꼬하마의 Kellyzwalsh에서 나오고 세이시분샤에서 인쇄되었다. 한영사전과 영한사전 두 권으로 된 포켓판과, 이 둘을 합본한 학생판의 형태로 간행되었다. 이 사전의 철자법은 ≪전운옥편≫을, 자모 배열은 ≪한불ㅈㆍ뎐≫을, 한자어는 ≪중국어음절사전≫을 따랐다. 한영사전의 고유어는 한글 철자, 한자, 영어 대역 순으로, 한자어는 한글 음, 한자 설명 순으로 설명되어 있다. 영한사전은 영어 단어, 문법적 특성, 한국 단어 대역 순으로 기술되어 있다. 이 사전의 특색은 용언의 기본형을 ‘하오체’로 삼은 점이다.

목차
정의
1890년 언더우드(Underwood, H.G.)가 한국어를 영어로, 영어를 한국어로 풀이한 사전. 한영사전 · 영한사전.
내용

본서는 요꼬하마의 Kellyzwalsh 출판사에서 나오고 같은 곳의 세이시분샤(Seishi Bunsha)에서 인쇄되었다. 본서는 같은 해 두 가지 형태로 간행되었다. 하나는 포켓판(pocket-edition)으로서 2권으로 되어 있다.

첫째권(Vol.Ⅰ)은 A korean-English, 둘째권(Vol.Ⅱ)은 An English-korean로 각각 독립되어 있다. 포켓판의 이름은 A Concise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o(Pocket-edition in two volumes)이다. 다른 하나는 학생판(student edition)인데 앞의 포켓판 2권을 합본한 것이다.

이름은 내지의 꼭대기에 ‘韓英字典’, 다음에 한글로 ‘한영ᄌᆞ뎐’으로 나와 있고, 그 밑에 A Concise-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in two parts korean-English & English-korean이라 되어 있으며 헐버트(Hulbert,H, B.)와 게일( Gale, J. S.)의 도움으로 편찬되었음이 밝혀져 있다.

포켓판과의 차이점은 한영부에는 Part Ⅰ, A korean-English Dictionary, 영한부에는 Part Ⅱ, An English-korean Dictionary로 되어 있는 점이 다르고 나머지의 내용과 차례는 같다. 학생판은 B6판으로 서문을 비롯한 서두부가 X면, 제1부는 196면, 제2부는 294면이다.

1889년 11월에 씌어진 서문에 의하면 이 책의 편찬 동기는 영어로 된 한국어사전이 없다는 사실에서 비롯되었다. 한국에 온 지 수개월 후부터 5년동안 단어를 모아 영어로 대역함으로써 편찬한 것인데 한영사전은 게일의 도움으로, 영한사전은 헐버트의 도움으로 완성하였다.

사전 편찬의 큰 문제는 정리 안 된 맞춤법이라고 지적하며 『전운옥편(全韻玉篇)』의 철자법을 따랐다. 한편 자모의 배열은 불란서 선교사들의 『한불ᄌᆞ뎐』(1880)의 것을 채택하고 있다. 한자어는 윌리암(William)의 『중국어음절사전(Syllabic Dictionary of the Chinere hanguage)』의 것을 비교, 채택하였고 한국고유의 단어는 엄격한 검증과정을 통해 채집되었다.

특히 송순용(宋淳容)의 도움이 컸다고 말하는데 이 사람은 언더우드의 『한영문법』(1890)의 저술에도 큰 도움을 주었다. 서두부의 서문 다음에는 「언문ᄎᆞ례」, 「받침ᄎᆞ례」, 「글자고뎌법」 등의 한글로 된 설명문이 2면에 걸쳐 제시되어 있는데 서문의 내용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한국인 독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 같다.

이곳에서 주목할 것은 소유격조사의 ‘의’와 처소격조사의 ‘에’를 구별하는 방법을 설명한 사실이다. ‘의’는 한자의 ‘之’의 뜻에, ‘에’는 한자의 ‘於’에 해당시킴으로써 구분의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약호에는 문법용어가 설명되어 있는데 체계가 『한영문법』과 같다. 단어의 설명방식은, 고유어는 한글철자 다음에 그것을 의미하는 한자가 나오고 영어대역이 나오며 한자어는 한글로 음을 먼저 제시하고 그 옆에 한자를 붙였다.

  • 아오, 第, A younger brother……

  • 악공, 樂工, A musician

한영사전의 끝에는 수사를 고유어와 한자어에 걸쳐 제시하였고 이어 수명사(Specific classifiers), 화폐단위 이름, 날, 달, 주일 등의 이름이 실려 있다. 영한사전은 먼저 영어단어를 적고 그 문법적 특성을 보인 다음 이에 해당하는 한국 단어를 대역하고 있다. 이 사전의 특색은 용언의 기본형을 ‘하오체’어미로 삼고 있는 점이다.

참고문헌

『增訂 : 朝鮮語學史』(小倉進平, 東京 : 刀江書院, 1964)
「서양인의 한국어문법연구」(고영근, 『한국어문논총』 : 『우촌 강복수박사회갑기념논문집(又村 姜馥樹博士回甲紀念論文集)』, 형설출판사,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