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대훈 ()

목차
관련 정보
함대훈
함대훈
연극
인물
해방 이후 「청춘보」 · 「희망의 계절」 등을 저술한 소설가. 연극평론가 · 친일반민족행위자.
이칭
이칭
일보(一步)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6년(고종 33) 8월 21일
사망 연도
1949년 3월 21일
본관
양근(楊根)
출생지
황해도 송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청춘보」 · 「희망의 계절」 등을 저술한 소설가. 연극평론가 · 친일반민족행위자.
생애 및 활동사항

1896년 황해도 송화에서 출생했다. 중앙고등보통학교 졸업 후 곡물무역에 근무했다. 1928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외국어학교 러시아과에 입학, 1931년에 졸업했다. 재학 중 유학생과 함께 해외문학연구회를 조직에 참여했으며, 『해외문학』·『문예월간』 등 문학잡지와 『동아일보』에 번역 작품과 연극평론의 글을 발표했다. 이 시기 연극계 활동도 시작했다. 1931년 귀국하여 신극단체 극예술연구회 결성에 참여하여 러시아문학을 번역, 소개에 힘썼다. 조선일보사에 입사해 사회부·학예부·출판부 기자로 활동했으며, 1937년 편집주임을 맡았다. 1938년 3월 극예술연구회가 해산당하자 극연좌를 조직하여 연극활동을 계속했다. 1939년 조선문인협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1941년 간사로 활동했다. 이 시기 시국강연대 일원으로 문예보국강연회에서 강연했다. 1940년 조선일보사 출판부 주임으로 친일종합문예지 『조광』의 편집업무를 담당했다.

1941년 친일 연극단체 현대극장 설립에 참여했으며, 국민연극연구소를 설립하여 연극개론을 강의하는 한편 기획위원 및 연구소장을 맡았다. 이를 바탕으로 『매일신보』와 『경성일보』에 「국민연극의 첫 봉화」, 「근대극과 국민연극」, 「국민연극의 전향」, 「국민연극의 건설」 등을 발표했다. 1943년 일제의 신체제를 미화하는 「북풍의 정열」을 발표했다. 해방 후 『한성일보』 편집국장, 미군정청 공안국장과 공보국장으로 활동했다. 1947년 소설 「청춘보」, 1948년 「희망의 계절」 등을 발표했다. 1947년 국립경찰전문학교 교장으로 취임, 재직 중 1949년 3월 21일 사망했다.

함대훈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1·13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9: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91∼115)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

참고문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19: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한국언론인사화』하(대한언론인회, 1992)
『국문학전사』(이병기·백철, 신구출판사, 1973)
『한국신극사연구』(이두현,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일본유학생과 러시아문학」(김진영, 『러시아연구』25-1, 2015)
「일제 말 극단 현대극장의 국민연극 실천과 신극(新劇)의 딜레마」(이덕기, 『어문학』107, 2010)
『동아일보』(1949.3.23)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성주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