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덕지 ()

목차
산업
유적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에 있었던 합덕평야를 관개하던 저수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당진시 합덕읍에 있었던 합덕평야를 관개하던 저수지.
내용

합덕평야를 관개하던 젖줄이었으나 1964년 예당지(禮唐池)가 준공됨에 따라 관개용수량이 충분하여 이 해에 합덕지는 폐지하고 현재는 농경지로 개답하였다. 폐지되기 전 제방의 둘레가 9㎞, 길이는 1,780m, 저수면적 103ha, 몽리면적 726ha였으나, 최대저수량이 얼마인지는 미상이다.

다만, 합덕지를 일명 연지(蓮池)라고도 부르는 것으로 보아 연이 생장할 수 있는 수심이라면 수심(水深)은 그리 깊지 않았으며, 저수면적에 비하여 저수량은 그리 많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합덕지의 기원은 미상이나 『당진군지(唐津郡誌)』에 따르면, 후백제 견훤(甄萱)이 이곳에 둔전(屯田)을 개간, 1만 2,000명의 둔병(屯兵)과 말 6,000필을 주둔시키면서 이 둔병에 의하여 합덕지가 개설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합덕지는 연꽃이 많았으나 남생이가 많이 자생하여 전설에는 둔병의 숫자가 이 남생이 숫자만큼 많았다고 한다. 또한, 합덕(合德)이라는 지명도 둔병들의 덕을 합치는 곳이라는 뜻에서 붙여졌다고 한다. 이광린(李光麟)의 『이조수리사연구(李朝水利史硏究)』에 따르면 합덕지는 1768년(영조 44) 홍양호(洪良浩)가 홍주목사(洪州牧使)로 부임하면서 1만 1,000명의 군내 장정을 동원해 준설 및 보수공사를 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1778년(정조 2)에는 군민 4,553명과 인근 군민 3,500명을 동원하여 결괴된 부분 2개소를 수축하였고 1792년에도 군민 3,000명과 인근 군민 3,500명을 동원하여 수축하였으며, 그 뒤에도 해마다 인근의 천안(天安)·덕산(德山)·면천(沔川) 등의 읍민의 협조로 필요할 때마다 보수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합덕지는 1964년 폐제(廢堤)되기 이전까지 합덕평야의 쌀생산을 위한 유일한 용수원이었다.

참고문헌

『옛수리시설에 관한 학술자료』(례당농지개량조합, 1986)
『당진군지』(당진군, 1983)
『이조수리사연구』(이광린, 한국연구원, 196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