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매안리 비 ( )

목차
관련 정보
합천 매안리비
합천 매안리비
고대사
유적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에 있는 삼국시대 에 건립된 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에 있는 삼국시대 에 건립된 비.
내용

이 비석은 창마마을 입구 당산(堂山)의 중심부에 있다. 당산에는 큰 소나무가 있고, 그 중앙에 선돌 형태로 서 있었으며, 오랫동안 신앙 대상물이 되어왔는데, 근래까지도 이 마을에서 이 곳에서 산제(山祭)를 지냈다고 한다.

이 비는 1989년 5월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의 신라문화연구소 김상현(金相鉉)교수에 의하여 조사되어 알려졌다. 조사 당시 모습은 원래 언덕에 붙어 있었는데, 위로부터 약 90㎝ 정도까지는 언덕의 흙과 비면 사이에 약 60여㎝ 정도의 간격이었다.

비신의 하단 약 60㎝ 정도는 땅에 묻혀 있고 언덕에 기대어 서 있었다. 비의 재질은 화강암이며, 비신의 높이 265㎝, 최장 너비 56㎝, 두께 약 35㎝ 정도이다.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서체는 북위풍(北魏風)의 해서(楷書)이고, 자경(字經)은 대개 5.5㎝ 정도이며, 판독한 글자는 전면(前面)의 1행 14자 정도에 불과하다.

판독이 극히 어려워 비의 연대나 성격은 단정할 수 없고, 심지어 가야비인지 신라비인지조차 분명하지 않다.

참고문헌

「합천(陜川) 매안리비(梅岸里碑)」(이문기, 『역주한국고대금석문(譯註韓國古代金石文)』2, 한국고대사회연구소, 1992)
「가야지역(伽耶地域)에서 발견된 금석문(金石文) 자료」(김창호, 『향토사연구(鄕土史硏究)』1, 1989)
「합천(陜川) 매안리고비(梅岸里古碑)에 대(對)하여」(김상현, 『신라문화(新羅文化)』6, 198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