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사도 ()

목차
관련 정보
자연지리
지명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에 있던 섬.
이칭
이칭
달동
지명/자연지명
면적
0.57㎢
둘레
11.5㎞
소재지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하사도는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에 있던 섬이다. 섬 안에 볼 것이 아무것도 없는 허무한 섬이라 하여 ‘허사도’라 불렀다고 한다. 최근 목포대교의 국도 1호선의 기점이 연장됨에 따라 섬이 육지와 연결되었다. 고도가 최고 57.8m일 정도로 낮아 입지상 개발 여건이 좋은 편으로 자동차 수출항이면서 대중국 물동량을 겨냥한 ‘목포 신항’으로 알려져 있다. 허사도의 남쪽에 영암의 가지도(可之島)에서 구와도(拘臥島)를 거쳐 삼호중공업단지와 연결되는 ‘신항교’가 건설되어 연도되었으며 그 연장으로 국도 1호선은 국도 2호선과 연결되었다.

정의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동에 있던 섬.
자연환경

섬의 모양이 남북 방향으로 길고 평지가 넓어서 해발 주3가 낮다. 최고 고도가 57.8m일 정도로 낮아 입지상 개발 여건이 좋은 편이다. 지질은 대부분 산성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다. 서쪽 해안의 총 길이는 목포 신항 석탄 부두 호안에서부터 남동 방향으로 약 700m 정도이며 주4는 약 5m~10m인 해식애와 자갈 주5이 나타나며 주로 퇴적암류로 구성되어 있다. 섬 주위에는 간석지가 발달해 있다. 1월 평균 기온은 1.6℃, 8월 평균 기온은 24.9℃, 연 강수량은 1,088㎜이다.

변천 및 현황

허사도는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남쪽으로 약 3km 정도의 거리에 있으며 행정 구역상으로는 목포시 유달동에 속한다. 면적은 0.57㎢이고, 해안선의 길이는 11.5㎞이다. 행정적으로 고하도에 통합되었다. 원래는 무안군에 속하였다가 1963년에 목포시로 편입되었다. 허사도는 1996년에 장귀도와 함께 육지와 연결됨에 따라 연간 하역 주6 1500만 톤을 처리하는 복합 화물 유통기지인 목포시 신항만이 건설되어 목포 사람들에게는 ‘목포 신항’으로 알려져 있다.

목포 신항은 2004년 12월에 허사도의 매립 공사를 통해 만들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민자 유치 항만이다. 이 항만은 서남권 연안 허브항으로 목포권 배후공단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대중국 화물량 급증에 대비하여 건설된 서남권의 중추 항만이다. 2012년에 완공된 주7목포대교국도 1호선의 기점인 목포시의 국도 대체 우회 도로로 자동차 전용도로다. 이 도로는 목포시 북항동 북항회센터 사거리에서 죽교동을 거쳐 유달동의 고하도와 허사도까지 연결된다. 허사도의 남쪽으로는 영암의 가지도(可之島)에서 구와도(拘臥島)를 거쳐 삼호중공업단지와 연결되는 ‘신항교’가 건설되어 섬들이 연결되어 있다. 그 연장으로 국도 1호선은 국도 2호선과 연결되었다. 현재 신항만 배후 주8는 구획이 정리되어 달공원 및 달동 1~3호 공원이 조성되어 있고, 한국 조선해양 기자재 연구원 전남본부, 세월호 목포신항만 거치소, 목포항 종합 상황소, 해수얼음공장, 호텔 디오션, 아파트 단지 조성으로 새롭게 바뀌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정호, 『전남의 전설』 (전라남도, 1987)
『목포시사』 (목포시사편찬위원회, 2017)
『한국지명유래집』 (국토지리정보원, 2010)
『목포통계연보』 (목포시, 2022)
『전라남도유인도정보』 (전라남도, 2022)

인터넷 자료

목포신항만(https://(www.mokpoport.com)
지역N문화(https://ncms.nculture.org/origin-of-place-names/story/6630)
주석
주1

왕명으로 특별한 사명을 띠고 지방에 파견되던 임시 벼슬. 감진어사, 순무어사, 안핵사, 암행어사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풍수지리를 전문적으로 보는 사람. 우리말샘

주3

평균 해수면을 기준으로 하여 잰 어떤 지점의 높이. 우리말샘

주4

해안 침식과 풍화 작용에 의하여 해안에 생긴 낭떠러지. 우리말샘

주5

오랜 세월에 걸쳐 바다 밑에서 부서지고 갈라져서 반질반질하게 된 자갈이 해변으로 나와 형성된 해안. 우리말샘

주6

항구에서 일정한 단위 시간에 선박의 화물을 싣고 내릴 수 있는 능력. 우리말샘

주7

양쪽에 높이 세운 버팀 기둥에서 비스듬히 드리운 쇠줄로 다리 위의 도리를 지탱하게 된 다리. 물의 흐름이 빠르고 수심이 깊은 곳에 놓는다. 우리말샘

주8

공항이나 항만 등 특정 목적을 지닌 지역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주변에 지원 시설을 집단으로 갖추어 놓은 구역.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