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황가 ()

고전시가
작품
1929년김주희(金周熙)가 지은 동학가사.
이칭
이칭
허중유실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29년김주희(金周熙)가 지은 동학가사.
구성 및 형식

일명 ‘허중유실가(虛中有實歌)’라고도 한다. 모두 1,125행 2,250구의 장편가사로 율격은 변형가사에 속한다. 경상북도 상주시 동학본부에서 펴낸 『동학대전(東學大全)』에 실려 있다.

내용 및 평가

내용은 중국 역대제왕의 치적을 노래하며 삼강오륜을 지켜야 함을 말하고 세상만사가 허황되니 유(儒)·불(佛)·선(仙)의 삼도가 합덕한 용담도학(龍潭道學)에 힘쓸 것을 권면하였다.

그 서두와 끝은 다음과 같다. “御化世上(어화세상) 사ᄅᆞᆷ덜아 이내노ᄅᆡ ᄒᆞᆫ曲調(곡조) 웃지 말고 드르시오 無情(무정))한 이 歲月(세월)에 一場春夢(일장춘몽) 집히든 잠 ᄭᅮᆷ을 다시 ᄭᆡ고 보니 虛荒(허황)하고 虛荒(허황)하다 夢中事(몽중사)가 虛妄(허망)하다……愚昧(우매)ᄒᆞᆫ 이내사ᄅᆞᆷ 紛紛(분분)한 此世上(차세상)에 人心風俗(인심풍속) 본다 ᄒᆡ도 읏지하니 모를손가 ᄯᅢ運數(운수) 이러하니 有德君子(유덕군자) 잇거덜랑 이글 뎌글 曲調曲調(곡조곡조) ᄉᆞᆲ혀ᄂᆡ여 부ᄃᆡ부ᄃᆡ ○다라셔 後悔(후회)업게 하여셔라.”

참고문헌

『동학가사(東學歌辭)』 Ⅰ(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