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식 ()

목차
불교
의례·행사
제사를 지내고 난 뒤의 제물이나 대중이 식사할 때에 생반(生飯)을 조금씩 떼어내어 아귀에게 음식을 베푸는 불교의식.
목차
정의
제사를 지내고 난 뒤의 제물이나 대중이 식사할 때에 생반(生飯)을 조금씩 떼어내어 아귀에게 음식을 베푸는 불교의식.
내용

아귀는 범어 Preta를 번역한 것으로 ‘죽은 이’라는 뜻이다. 인도에서는 선조의 영혼에게 봉사하지 않으면 그 영혼은 아귀계(餓鬼界)또는 아귀도(餓鬼道)에 떨어져 고통을 받는다고 믿는 데서 기인한 것이라 한다.

음식을 절 바깥 일정한 곳에 버리면, 아귀가 찾아와서 먹는다는 데서 행하여진 하나의 습속이다. 49재 등의 재의식이 끝날 때나 보통 기일재(忌日齋) 때에 재물을 일부 떼어 모아 반드시 헌식을 하게 된다. 시아귀신앙(施餓鬼信仰)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석문의범(釋門儀範)』
집필자
홍윤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