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자총통 ()

목차
관련 정보
현자총통
현자총통
과학기술
유물
조선 전기에 사용하던 유통식(有筒式) 화포(火砲).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에 사용하던 유통식(有筒式) 화포(火砲).
내용

천자·지자 총통에 이어 다음에 해당하는 화포로서, 조선 태종 때 처음 만들어졌다. 『신기비결(神器祕訣)』 ‘현자총’조에 의하면, 매일위(每一位)에 화약 4냥, 중약선(中藥線) 5촌, 소연자(小鉛子) 30매라 하였다.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 ‘현자총통’조에는 중약선 반조(半條), 화약 4냥, 격목(檄木) 4촌으로 차대전(次大箭)을 발사하면 800보에 이르고, 탄환을 쓸 때에는 토격(土隔)은 2촌을 써서 철환 100개를 발사하며, 차중전(次中箭)은 화약 3냥에 격목 3촌을 쓰고 그 거리는 1,500보에 이른다 하였다.

현재 육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현자총통은 남한산성에서 출토된 것이며, 철제로서 그 명문에 ‘己酉南蠻鐵鑄造重一百九十斤 玄字 藥入四兩(기유남만철주조중 190근 현자 약입4냥)’이라 하여 다만 간지만이 명시되었기 때문에 확실한 제조연대는 알 수 없으나 그 만듦새로 보아 매우 숙련된 솜씨이다.

총길이 95.5㎝, 통 길이 89.9㎝, 그리고 입지름 15.5㎝로 죽절(竹節)은 통신에만 해놓고 약실(藥室)에는 하지 않았으며, 손잡이는 통신에 하나, 그리고 통신과 약실을 연하여 하나 있고, 약실 후면에 선혈(線穴)은 하나뿐이다.

참고문헌

『신기비결(神器秘訣)』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
『융원필비(戎垣必備)』
『한국의 화포』(이강칠, 육군박물관, 197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