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방지황탕 ()

목차
관련 정보
의약학
개념
소양인 체질의 표병증에 속하는 신한복통망음증과 부종 · 천촉 · 결흉 등의 증세에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형방지황탕은 소양인 체질의 표병증에 속하는 신한복통망음증과 부종·천촉·결흉 등의 증세에 사용하는 처방이다. 1894년 이제마가 지은 『동의수세보원』에도 기록되어 있는 처방이다. 정신적 불안과 섭생의 부주의에서 오는 음허화동으로 복통이 발생하는 신한복통망음증에 처방한다. 또한 소양인의 병리 중 표음이 울체되어 제대로 하강하지 못하여 발병되는 부종·천촉·결흉·이질·한열왕래 등의 증세에 사용한다. 처방의 구성은 숙지황·산수유·복령·택사 각 7.5g, 차전자·강활·독활·형개·방풍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목차
정의
소양인 체질의 표병증에 속하는 신한복통망음증과 부종 · 천촉 · 결흉 등의 증세에 사용하는 처방.
내용

1894년 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도 기록되어 있는 처방이다. 소양인의 표병증은 크게 소양상풍증(少陽傷風症:소양인이 음기가 하강하지 못하고 등뼈 주위에 울체되어 생긴 병)과 망음증(亡陰症)으로 나뉜다.

이 중 망음증은 다시 신열두통망음(身熱頭痛亡陰)과 신한복통망음으로 나누어진다. 신열두통망음은 소양상풍증의 치료가 불완전하여 열사(熱邪)가 근육간에 남아서 두통이 생기는 것이고, 신한복통망음은 평소에 정신적 불안과 섭생의 부주의에서 오는 음허화동(陰虛火動)으로 복통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또한, 소양인의 병리는 크게 둘로 나뉘는데, 하나는 표음(表陰)이 울체(鬱滯)되어 제대로 하강하지 못하여 발병되는 것이고, 나머지 하나는 이양(裡陽), 즉 청양(淸陽 : 가볍고 맑은 양기)이 제대로 상승하지 못해서 발병되는 것이다.

후자에 속하는 병증들이 주로 이병증(裡病症)에 속하는 것으로 중풍 · 토혈 · 구토 · 식체 · 비만(痞滿)이 이에 해당되며, 전자에 속하는 병증들은 대개 표병증에 속하는 것으로 부종 · 천촉 · 결흉 · 이질 · 한열왕래 · 흉협만 등이 있다. 형방지황탕은 전자에 해당하는 병증을 주로 치료하는 처방이다.

처방의 구성은 숙지황(熟地黃) · 산수유(山茱萸) · 복령(茯苓) · 택사(澤瀉) 각 7.5g, 차전자(車前子) · 강활(羌活) · 독활(獨活) · 형개(荊芥) · 방풍(防風) 각 3.75g으로 되어 있다.

적응증으로는 졸중풍(卒中風) · 중부(中腑) · 구안와사(口眼喎斜) · 탄탄(癱瘓) · 중풍허증(中風虛症) · 망음(亡陰) · 상한비기(傷寒痞氣) · 내상도포(內傷倒飽) · 불사음식(不思飮食) · 허로(虛勞) · 해수(咳嗽) · 수적(水積) · 습울(濕鬱) · 기창(氣脹) · 황달(黃疸) · 단기(短氣) · 건망(健忘) · 불면(不眠) · 전간(癲癎) · 토혈 · 현훈(眩暈) · 색상실음(色傷失音) · 산후실음(産後失音) · 오림(五淋) · 교장(交腸) · 두통 · 안병(眼病) · 요통 · 각기 · 학슬풍(鶴膝風) · 산증(疝症) · 낭종(囊腫) · 음양(陰痒) · 태동(胎動) 등 매우 다양하다.

군약(君藥)이 되는 숙지황은 생명의 근원인 신수(腎水)를 보(補)하는 작용이 있고, 산수유는 보양(補陽)하는 작용이 있어 원양(元陽)을 흩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복령과 택사는 삼습이뇨(渗濕利尿)하는 효능이 있어 사열(邪熱)을 배설시켜주며, 차전자는 개수도(開水道)하면서 고정(固精)하는 작용이 있고, 형개 · 방풍 · 강활 · 독활은 표부(表部)의 사기(邪氣)를 막아주며 보음(補陰)하는 효능이 있다.

이 처방은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가미방인데 산약(山藥)이 없는 것은 소양인은 비기(脾氣)가 충족한 체질인 까닭에 이를 뺀 것이다. 또한, 목단피(牧丹皮)도 성(性)이 한랭(寒冷)하여 진양(眞陽)을 손상할 우려가 있어 뺀 것으로 보인다.

이 처방을 응용할 때에 해소가 있으면 전호(前胡)를, 어혈병에는 현삼(玄蔘) · 목단피를, 편두통에는 황련(黃連) · 우방자(牛蒡子)를, 식체로 가슴이 답답할 때는 목단피를, 화(火)가 오를 때는 석고(石膏)를 각각 첨가하여 사용한다.

또한, 만일 두통이 있고 번열이 나며, 객혈이나 토혈이 있을 때에는 숙지황을 생지황으로 바꾸어야 하며, 석고를 가미할 때는 산수유를 빼야 한다.

형방지황탕에 전호를 첨가한 처방은 전호지황탕이라 하여 해소 · 천식을 치료하고, 현삼 · 목단피를 가한 처방은 현삼지황탕이라 하여 토혈을 치료하며, 황련 · 우방자를 가한 처방은 황련지황탕이라 하여 편두통을 치료한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증보동의사상신편(增補東醫四象新編)』(원지상, 종합의원사, 1974)
『동의사상처방집(東醫四象處方集)』(염태환, 행림서원,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