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민원 ()

목차
근대사
제도
1901년에 설치되었던 구휼기관(救恤機關).
목차
정의
1901년에 설치되었던 구휼기관(救恤機關).
내용

왕명에 의하여 흉년에는 기근에 빠진 사람을 돕고, 평상시에는 홀아비·과부·고아와 자식이 없는 늙은이 등 무의탁자를 구호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간부직원으로는 3인의 총재를 두었는데, 내부대신과 탁지부대신이 겸직하였고, 나머지 1인은 실직(實職)이 임명되어, 원무를 전관하며 소속관리를 지휘, 감독하였으며, 업무는 2인의 겸직총재와 협동하여 처리하였다.

그 아래 정책결정에 참여하는 의정관(議政官) 5인, 총재와 의정관의 지휘를 받아 실무를 총괄하는 총무 1인을 두었다. 그리고 그 밑에 문서과·서무과·회계과 등 3개과를 두고 과장은 참서관으로 보하였으며, 각 과에는 2인의 주사를 두어 업무를 처리하게 하였다.

그리고 구휼사업의 재원을 조달하기 위하여 사창기관(社倉機關)인 총혜민사(總惠民社)를 별도로 설치하였으며, 총혜민사의 업무를 총괄하고 소속관리를 지휘, 감독하는 총혜민사 총사장은 혜민원 총무가 겸하도록 하였다.

아울러 각 군(郡)에는 지방에서의 구휼사업과 환곡업무를 담당하는 분혜민사(分惠民社)를 설치하였는데, 혜민원과 총혜민사의 지휘를 받도록 하였다. 1903년 혁파되었으며, 그 구휼업무는 내부로 이관되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증보문헌비고』
『한국사』19(국사편찬위원회, 1978)
『한말근대법령집』3(송병기 외, 대한민국국회도서관, 1971)
『한국의학문화대연표』(김두종, 탐구당, 1966)
집필자
강진갑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