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곡집 ()

목차
관련 정보
호곡집
호곡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유범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유범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0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14권 7책. 목판본. 1900년에 간행되었고, 서문과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서(書), 권2∼7에 서(書), 권8·9에 잡저, 권10에 서(序)·기(記)·지발(識跋)·상량문, 권11에 축문·제문·묘지명·묘갈명·묘표·행장, 권12에 행장·유사, 권13·14는 부록으로 연보·만사(輓詞)·제문·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 「산월(山月)」·「대월유감(對月有感)」·「제정벽(題亭壁)」·「반저차이덕무운(泮邸次李德懋韻)」 등이 수작이다. 서(書)는 대부분이 스승 이상정(李象靖)에게 올린 것인데, 그 중 「별지문목(別紙問目)」은 『논어』의 의문처에 대한 의품(疑稟)이다.

권2∼7에 실려 있는 서는 채제공(蔡濟恭)·정범조(丁範祖)·정종로(鄭宗魯) 등에게 준 것이 많다. 또, 아버지에게 올린 글에는 『심경』에 대한 의품도 있다. 잡저 중 「호상기문(湖上記聞)」은 인의예지(仁義禮智)에 대하여 스승에게 들은 바를 기록한 글이다.

그 밖에 「반촌문답(泮村問答)」·「삭거혹문(索居或問)」·「졸수잡록(拙修雜錄)」·「노원잡록(蘆原雜錄)」·「삼과설(三過說)」·「노심설(奴心說)」 등이 실려 있다. 기 중에는 「학와기(學窩記)」·「동회와기(動悔窩記)」가 명편이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