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구범 ()

현대문학
인물
1947년, 단편소설 「봄이 오면」으로 등단하여 「창고 근처 사람들」 · 「농민」 등을 발표한 소설가. 잡지 편집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3년 6월 15일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충청북도 충주
주요 작품
봄이 오면, 창고 근처 사람들, 농민
주요 경력
『문예』 편집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홍구범은 1947년 단편소설 「봄이 오면」으로 등단하여 「창고 근처 사람들」·「농민」 등을 발표한 소설가이자 잡지 편집자이다. 1949년 모윤숙·김동리·조연현 등과 『문예』를 창간하면서 편집을 맡았고, 청년문학가협회·한국문학가협회 결성에 참여했다. 해방기에 가난한 민중들의 생활고를 리얼리즘적으로 재현하고 풍자하여 문단에서 주목받는 신진 작가였다. 1950년 8월경에 인민군 보안서원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추정되며 정확한 생사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정의
1947년, 단편소설 「봄이 오면」으로 등단하여 「창고 근처 사람들」 · 「농민」 등을 발표한 소설가. 잡지 편집자.
인적사항

1923년 6월 15일에 충청북도 중원군에서 아버지 홍기하와 어머니 이용구의 사이에서 3녀 1남 중 1남으로 태어났다. 1943년에 김난식과 결혼하였다. 소년 시절부터 소설 쓰기에 관심을 갖고, 김동리가 한때 기거하던 경상남도 사천시다솔사로 찾아가 김동리에게 소설을 가르쳐 주길 청했다고 한다. 1947년 5월 『백민』에 ‘신인 추천’으로 「봄이 오면」을 발표하여 등단하였다. 『민국일보』 · 『평화일보』 등에서 기자로 생활한 바 있으며, 청년문학가협회 · 한국문학가협회 결성에 참여하였다. 1949년에 모윤숙 · 김동리 · 조연현 등과 『문예』를 창간했고, 『문예』에서 편집 실무를 담당하였다. 1950년 8월경에 인민군 주1원에 의해 납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정확한 생사 여부가 확인되지 않았다.

주요 작품

홍구범은 짧은 생애 속에서 불과 3년여에 불과한 문필 생활을 했지만, 단편소설 13편, 수필 5편, 평론 2편 등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였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탄식」 · 「폭소」 · 「귀거래」 · 「창고 근처 사람들」 · 「서울 길」 · 「농민」 · 「노리개」 · 「쌀과 달」 · 「전설」 등이 있다. 「창고 근처 사람들」 · 「농민」의 경우 일제 말기 공출과 징용을 당했던 사람들이 해방 후에도 여전히 궁핍하게 사는 반면, 기회주의적 부르주아는 재빨리 변신해 권력을 계속 유지하는 현실의 모순을 비판하였다. 「봄이 오면」 · 「폭소」와 같은 작품에서는 귀환자들을 통해 해방 공간의 생활고를 리얼리즘적으로 재현하고 풍자하였다. 이처럼 해방 전후 가난한 민중의 삶을 토대로 돈과 권력 구조의 폭력성을 성찰해 나간 홍구범은 소설가 김동리, 평론가 조연현에 의해 ‘조선의 발자크’ · ‘화제작 제조기’라 불릴 정도로 해방기 문단에서 주목받는 신인작가였으나, 한국전쟁 발발 후 납치되며 작품세계를 더 펼치지 못했다.

상훈과 추모

충청북도 지역 문인의 작품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1995년에 제1회 홍구범문학제가, 2007년에 제2회 홍구범문학제가 개최되며 홍구범의 생애와 문학이 재조명되었다. 미발표된 홍구범의 소설을 엮은 단편소설집 『창고 근처 사람들』(푸른사상사, 2007)과 『홍구범 전집』(현대문학, 2009)이 출간되었다.

참고문헌

논문

권희돈, 「홍구범의 삶과 문학」(『새국어교육』 86, 한국국어교육학회, 2010)
김정숙, 「홍구범의 문학세계와 그 현재성」(『한민족문화연구』 82, 한민족문화학회, 2023)
주석
주1

예전에, 사회의 안녕과 질서를 유지하는 사업을 맡아보던 기관.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