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권 5책. 목활자본. 1916년 기우만(奇宇萬)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선(宋秉璿)·전우(田愚)·기우만의 서문이, 권말에 홍종협(洪鍾協)·송병순(宋秉珣)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4는 시, 권5는 서(書), 권6∼8은 잡저·부(賦)·책(策), 권9는 명(銘)·찬(贊)·송(頌)·전문(箋文)·상량문·축문·제문, 권10은 묘비·묘갈·묘지·행장, 권11∼13은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잡저 「인야자인설(仁也者人說)」과 「욕인사지설(欲仁斯至說)」은 각기 『맹자』와 『논어』에 들어 있는 인(仁)을 부연하고 자신의 견해를 적은 글이다. 「논맹용학해(論孟庸學解)」 역시 『맹자』·『중용』 등에 대한 학문방법을 논한 것이다.
그 밖에 「산수설(山水說)」·「중선설(中善說)」·「귀신설(鬼神說)」·「과욕설(寡欲說)」·「요순지어자제론(堯舜之於子弟論)」 등은 사상이 심오하면서 논리가 탄탄한 글이다.
부에는 「부신행가(負薪行歌)」·「중류송초사(中流誦楚辭)」·「문우천(問牛喘)」 등이 있는데, 철학이 풍류에 깃들어 있는 작품이다. 「사오당명(四吾堂銘)」·「한거사반명(閒居四伴銘)」·「초좌명(草座銘)」 등에서는 작자의 인생관을 엿볼 수 있고, 「도정절귀거래사찬(陶靖節歸去來辭贊)」은 도잠(陶潛)의 「귀거래사」를 동경한 작품이다.
부록에는 「행록약초(行錄略草)」·「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천문일록(泉門日錄)」·「병자호란사실(丙子胡亂事實)」과, 홍남립에 대한 묘지명·행장, 그밖에 「학천서원축문(鶴川書院祝文)」·「경서애감록후(敬書哀感錄後)」 등이 실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