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양지 ()

목차
관련 정보
화양지
화양지
인문지리
문헌
1744년 송주상이 화양동과 화양서원 그리고 송시열에 관한 기록을 모아 엮은 지방지.
목차
정의
1744년 송주상이 화양동과 화양서원 그리고 송시열에 관한 기록을 모아 엮은 지방지.
내용

2책. 목활자본. 1861년(철종 12)송달수(宋達洙)·송근수(宋近洙)·송병기(宋秉琦)등이 추보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총목·범례와 편찬자의 서문이 있고, 책끝에는 송익수(宋翊洙)와 송근수의 발문이 있다.

내용 구성은 제1편 지명연혁(地名沿革 : 附 山水源委·洞天九曲·泣弓巖事實·洞天上下諸編·卜居始末·巖樓齋事實), 제2편 애각사실(厓刻事實 : 附 煥章庵事實·雲漢閣事實·大統曆跋·社倉事實), 제3편 황묘사실 상(皇廟事實 上), 제4편 황묘사실 하(皇廟事實 下 : 附 大報壇事實·甲子筵說), 제5편 서원사실(書院事實 : 附 御額事實·影幀圖贊·移建事實·大全板事實), 제6편 총론대의(總論大義 : 附 春秋講義)로 되어 있다.

제1편 <지명연혁>에는 화양동이 위치한 지역, 즉 충청도 청주 화양동의 고대로부터의 연혁과 사적을 시대순으로 각각 기록한 뒤 화양동 주변 산천의 내맥(來脈)관계, 화양구곡(擎天壁·雲影潭·泣弓巖·金沙澤·瞻星臺·凌雲臺·臥龍巖·鶴巢臺·巴串)에 관한 설명·시문, 효종대왕 사적에 관한 송시열(宋時烈)의 글, 송시열이 화양동에 들어오게 된 과정 등이 첨부되어 있다.

제2편 <애각사실>에는 민정중(閔鼎重)이 북경에 사신으로 갔다가 명나라 의종(毅宗)의 친필인 ‘非禮不動(비례부동)’ 4자를 얻어와 송시열에게 주니 송시열이 이를 화양구곡의 제5곡인 첨성대 바위 아래에 새겨 놓았는데, 이에 관한 기록들이 실려 있다. 또, 이 바위 아래에 있는 암자인 환장암에 관한 사실 등이 부록되어 있다.

제3·4편의 <황묘사실>은 만동묘에 관련된 사실들을 모아놓은 것으로, 개기제문(開基祭文)·상량문(上樑文)·제고문(祭告文) 외 여러 글이 상권에 실려 있다. 하권에는 묘정비명(廟庭碑銘)·대보단사실·갑자연설(1744년 만동묘를 중수하고 면세전 20결을 획급하였던 내용)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제5편 <서원사실>에는 상량문·제문·축문·연도별 사제문(賜祭文) 등 화양서원에 관련된 기록들이 10여편 실려 있다. 제6편 총론에는 효종∼숙종대에 걸쳐 일어났던 예송문제(禮訟問題)에 관하여 송시열이 올린 글들이 수집되어 있다.

이 책은 조선 후기 유림의 최대 집결지 중의 하나였던 화양서원과 화양동 그리고 송시열에 관한 기록을 모아놓은 종합적인 자료로서 조선 후기 사족 사회와 사족들의 곡(曲)의 설치·운영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장서각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화양고사(華陽故事)』
『화양견문록(華陽見聞錄)』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