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향교 ()

목차
관련 정보
화천향교
화천향교
유적
국가유산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에 있는 조선시대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화천향교(華川鄕校)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1985년 01월 17일 지정)
소재지
강원 화천군 화천읍 하리 108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강원특별자치도 화천군 화천읍에 있는 조선시대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내용

조선시대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1735년 전사청(典祀廳)과 외문루(外門樓)를 창건하였다. 1773년 조무(趙懋)가 명륜당을 중수하고, 외삼문(外三門)을 중건하였고, 1786년 향교를 중수하였다. 1950년 6 · 25동란으로 건물이 모두 소실되었다가 1960년 이종석(李鍾奭)의 주선으로 대성전과 내삼문(內三門)을 재건하였다.

1974년 전교(典校) 박제묵(朴齊默)의 주관으로 명륜당 · 제기고(祭器庫) · 외삼문이 완공되었다. 1973년에 향교 전체를 단청(丹靑)하고 1979년에 번와작업(飜瓦作業), 1980년에 원장(垣墻)의 보수를 하였으며, 1982년에는 홍살문을 건립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 명륜당 · 내삼문 · 외삼문 · 제기고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건축형태는 전학후묘(前學後廟)의 형태이다. 외삼문을 마주보는 위치에 정면 4칸, 측면 2칸의 명륜당이 지어졌고, 계단을 올라가면 내삼문이 있으며 그 앞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성전이 위치한다. 또한 그 오른쪽에 제기고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봄 · 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 ·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이 향교는 1985년 강원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으며, 소장전적은 모두 산실(散失)되고 판본이 몇 권 남아 있을 뿐이다. 향교의 운영은 전교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태학지(太學志)』
『화천향교지(華川鄕校誌)』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 상(上)(문화재관리국, 1977)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