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알을 빼앗은 호랑이 (황새알을 빼앗은 이)

목차
구비문학
작품
까치새끼를 잡아먹은 호랑이를 곯려준 내용의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까치새끼를 잡아먹은 호랑이를 곯려준 내용의 설화.
내용

설화유형의 하나로, 동물담 중 유래담 혹은 지략담에 속한다. 조선 말기의 문헌설화집 『기문(奇聞)』의 제2화 「작겁호갈(鵲怯狐喝)」 이래로 전국 각처로부터 채록된 현지조사 사례가 많이 있다. 이제까지 보고된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호랑이(혹은 여우 등)가 까치의 새끼를 하나씩 잡아먹으며, 주지 않으면 나무 위로 쫓아 올라가 모두 잡아먹겠다고 위협하였다. ② 마지막으로 새끼 한 마리만 남은 까치가 어쩔 도리가 없어 울고 있었다.

③ 황새(혹은 토끼 등)가 까치가 우는 이유를 물어 사정을 듣고는, “다음에 또 오거든 ‘누워 있는 나무도 못 오르는 주제에 서 있는 나무를 어찌 오르겠니? 올라올 테면 올라와 보아라.’고 하여라.”고 일러주었다.

④ 까치가 황새가 일러준 대로 대답하였다. ⑤ 호랑이가 까치에게 “누가 가르쳐 주든?” 하고 물으니, 까치는 “황새가 그러더라.”고 대답하였다. ⑥ 호랑이가 황새를 찾아 잡아먹으려 하였다. ⑦ 황새가 꾀로써 도망하였다.

대강 이러한 내용으로 되어 있는 이 유형에는 이본에 따라 등장인물(동물)이 다양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즉, 약자인 까치는 까마귀나 학·황새 등으로 되어 있기도 하고, 강자인 호랑이는 여우·토끼 등으로도 나타나며, 약자에 대한 조력자(助力者)로는 황새 외에 왜가리·학·대조(帶鳥)·메추라기·토끼 등이 등장하기도 한다.

대개 이야기의 결말은 유래담 형식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은데, 예컨대 ‘여우의 콧등은 왜 하얀가?’, ‘토끼(혹은 황새·메추라기)의 꼬리는 왜 짧은가?’, ‘대조의 발가락은 왜 빨간가?’, ‘토끼는 왜 색깔이 하얗고 눈이 빨간가?’ 하는 따위가 그것이다.

이 유형은 그 자체가 「참새 기다리는 호랑이」 유형으로 착종되거나 혹은 이 유형 끝에서 「참새 기다리는 호랑이」 유형으로 이어지는 각편도 있어, 양 유형이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르네-톰슨(Aarne-Thompson)의 『설화유형 색인집』의 번호 AT 560 A 및 560 B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기문(奇聞)』
『한국설화의 유형적 연구』(조희웅, 한국연구원, 198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