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새알을 빼앗은 호랑이 (황새알을 빼앗은 이)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작품
까치새끼를 잡아먹은 호랑이를 곯려준 내용의 설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까치새끼를 잡아먹은 호랑이를 곯려준 내용의 설화.
내용

설화 유형의 하나로, 동물담 중 유래담 혹은 지략담에 속한다. 조선 말기의 문헌설화집 『기문(奇聞)』의 제2화 「작겁호갈(鵲怯狐喝)」 이래로 전국 각처로부터 채록된 현지조사 사례가 많이 있다. 이제까지 보고된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호랑이(혹은 여우 등)가 까치의 새끼를 하나씩 잡아먹으며, 주지 않으면 나무 위로 쫓아 올라가 모두 잡아먹겠다고 위협하였다. ② 마지막으로 새끼 한 마리만 남은 까치가 어쩔 도리가 없어 울고 있었다.

③ 황새(혹은 토끼 등)가 까치가 우는 이유를 물어 사정을 듣고는, “다음에 또 오거든 ‘누워 있는 나무도 못 오르는 주제에 서 있는 나무를 어찌 오르겠니? 올라올 테면 올라와 보아라.’고 하여라.”고 일러주었다.

④ 까치가 황새가 일러준 대로 대답하였다. ⑤ 호랑이가 까치에게 “누가 가르쳐 주든?” 하고 물으니, 까치는 “황새가 그러더라.”고 대답하였다. ⑥ 호랑이가 황새를 찾아 잡아먹으려 하였다. ⑦ 황새가 꾀로써 도망하였다.

대강 이러한 내용으로 되어 있는 이 유형에는 이본에 따라 등장인물(동물)이 다양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즉, 약자인 까치는 까마귀나 학 · 황새 등으로 되어 있기도 하고, 강자인 호랑이는 여우 · 토끼 등으로도 나타나며, 약자에 대한 조력자(助力者)로는 황새 외에 왜가리 · 학 · 대조(帶鳥) · 메추라기 · 토끼 등이 등장하기도 한다.

대개 이야기의 결말은 유래담 형식으로 끝나는 경우가 많은데, 예컨대 ‘여우의 콧등은 왜 하얀가?’, ‘토끼(혹은 황새 · 메추라기)의 꼬리는 왜 짧은가?’, ‘대조의 발가락은 왜 빨간가?’, ‘토끼는 왜 색깔이 하얗고 눈이 빨간가?’ 하는 따위가 그것이다.

이 유형은 그 자체가 「참새 기다리는 호랑이」 유형으로 착종되거나 혹은 이 유형 끝에서 「참새 기다리는 호랑이」 유형으로 이어지는 각편도 있어, 양 유형이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르네-톰슨(Aarne-Thompson)의 『설화유형 색인집』의 번호 AT 560 A 및 560 B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기문(奇聞)』
『한국설화의 유형적 연구』(조희웅, 한국연구원, 1983)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