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경대자 ()

목차
관련 정보
효경대의
효경대의
출판
개념
1590년의 내사기가 있는 『효경대의』의 정문을 찍는 데 사용된 활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590년의 내사기가 있는 『효경대의』의 정문을 찍는 데 사용된 활자.
내용

이 활자의 주조연대는 정확히 밝힐 수 없다.

그러나 그 책에 있는 1588년 6월에 쓴 유성룡(柳成龍)의 발문과 일본 손케이가쿠문고(尊經閣文庫) 소장본에 있는 1590년 9월의 내사기록으로 보아, 그 사이에 만들어져 인출하였음을 알 수 있다.

글자체는, 1475년(성종 6)에 전주에서 윤효손(尹孝孫)이 간행한 목판본 ≪효경≫이 조맹부(趙孟頫, 호는 松雪)의 자체인데, 그 것에 의거하여 유성룡이 1589년에 개간(改刊)한 것이므로 송설체의 활자라 보는 설과, 한호(韓濩)의 글씨를 자본으로 하였으므로 한호큰자로 보는 설이 있다.

또, 활자의 재료에 대해서는, 성암고서박물관(誠庵古書博物館) 소장 ≪효경대의≫의 고증 결과 나무인 것으로 발표되었다.

그리고 이 책의 중간 활자와 작은 활자는 이무렵 경서(經書)의 인출을 위하여 주조한 것으로, 을해자(乙亥字)와 비슷하면서도 그보다 사뭇 예리하게 만들었으며 그 명칭이 다양하다. 이 효경대자의 크기는 28×30㎜ 정도이며, 현재까지 알려진 인본으로는 ≪효경대의≫ 1종이 있을 뿐이다.

참고문헌

『추계실기(楸溪實記)』
『서애문집(西厓文集)』
『조선조활자고(朝鮮朝活字考)』(윤병태, 연세대학교 도서관학과, 1972)
『금속활자와 인쇄술』(손보기,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한국전적인쇄사(韓國典籍印刷史)』(천혜봉, 범우사, 1990)
「계유·경진·무오자(癸酉·庚辰·戊午字)에 대하여」(백린, 『도협월보』 8-1, 1967)
「효경대의대자고(孝經大義大字考)」(윤병태, 『도협월보』 15-10, 1974)
「庚辰字本孝經諺解と小學諺解」(田川孝三, 『朝鮮學報』 27, 196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