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생록 ()

목차
관련 정보
후생록
후생록
산업
문헌
조선후기 신중후가 우리나라의 농업기술을 종합적으로 서술한 농업서. 농업기술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신중후가 우리나라의 농업기술을 종합적으로 서술한 농업서. 농업기술서.
내용

2권 1책. 본래 상하 2권(책)으로 구성된 것이나 현존하고 있는 것은 82면의 하권 1책뿐이다. 편찬연대와 편찬동기는 알 길이 없으나, 유척기(兪拓基)가 쓴 ≪지수재집 知守齋集≫ 15권에 후생록 서문이 수록되어 있어, 후생록은 유척기의 생존연대인 1767년(영조 43) 이전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권은 목록과 본문으로 되어 있는데 수록된 내용은 채소·약초·축산·구황(救荒)·벽곡제방(辟穀諸方), 기타 농산가공과 잡방(雜方) 등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상권에는 수도(水稻:무논에 심은 벼)를 비롯한 각종 곡류와 과수 및 경제수종에 대한 것이 담겨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편찬자는 이 책을 저술함에 있어서 우리 나라의 구황서(救荒書)와 저술 당시의 관행농법인 근법(近法), 또는 속방(俗方)을 많이 인용하고 있으나 중국의 농서도 빈번하게 인용되어 있다. 특히, 그 가운데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는 것은 ≪사시찬요 四時纂要≫와 ≪신은서 神隱書≫로서 이 두 책을 저본으로 한 것 같다.

우리 나라 농서로서 이 책에 인용되고 있는 것은 ≪구황촬요 救荒撮要≫와 ≪구황벽곡방 救荒辟穀方≫뿐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편찬자는 당시의 관행농법을 많이 인용함으로써 우리 나라 풍토 중심의 농서를 편찬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 같다.

이 책의 하권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을 살펴보면, 종소(種蔬)에는 가지·고추·무·상추·파·미나리·마늘·생강·배추·수박·오이·참외·동아 등 20여 종에 대한 기록이 수록되어 있고, 종약(種藥)에는 지황(地黃)·구기(枸杞)·오미자(五味子)·당귀(當歸)·맥문동(麥門冬)·천궁(川芎) 등 12종의 약용작물에 대한 기록이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에 별종제품(別種諸品)이라 하여 대나무·연·담배·홍화(紅花)·쪽 등 12종이 추가되어 있다.

그리고 목양(牧養)에는 소·말·돼지·양·닭·거위·오리·물고기·누에·꿀벌 등에 대한 기록이 수록되어 있고, 구황방(救荒方)에는 10종의 구황식에 대한 조제(調製) 및 이용법이 설명되어 있다. 또, 벽곡제방에는 흡일법(吸日法)·불외한(不畏寒) 등과, 각종 장담그기, 식초만들기, 기름만들기, 술빚기 등이 설명되어 있고, 기용(器用)·조묵(造墨)·조필(造筆)·잡방(雜方)·생재(生財) 등 33종의 기타 기록이 첨가되어 있다.

이 책은 ≪산림경제≫ 이후 우리 나라의 종합농업기술을 다룬 두 번째 전통농서로서 ≪증보산림경제≫가 나오기까지 약 50∼60년간의 우리의 관행농법을 대부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나라 농업기술사상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농림수산고문헌비요』(김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2)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영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