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생록 ()

목차
관련 정보
후생록
후생록
산업
문헌
조선후기 신중후가 우리나라의 농업기술을 종합적으로 서술한 농업서. 농업기술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신중후가 우리나라의 농업기술을 종합적으로 서술한 농업서. 농업기술서.
내용

2권 1책. 본래 상하 2권(책)으로 구성된 것이나 현존하고 있는 것은 82면의 하권 1책뿐이다. 편찬연대와 편찬동기는 알 길이 없으나, 유척기(兪拓基)가 쓴 ≪지수재집 知守齋集≫ 15권에 후생록 서문이 수록되어 있어, 후생록은 유척기의 생존연대인 1767년(영조 43) 이전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권은 목록과 본문으로 되어 있는데 수록된 내용은 채소·약초·축산·구황(救荒)·벽곡제방(辟穀諸方), 기타 농산가공과 잡방(雜方) 등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할 때 상권에는 수도(水稻:무논에 심은 벼)를 비롯한 각종 곡류와 과수 및 경제수종에 대한 것이 담겨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편찬자는 이 책을 저술함에 있어서 우리 나라의 구황서(救荒書)와 저술 당시의 관행농법인 근법(近法), 또는 속방(俗方)을 많이 인용하고 있으나 중국의 농서도 빈번하게 인용되어 있다. 특히, 그 가운데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는 것은 ≪사시찬요 四時纂要≫와 ≪신은서 神隱書≫로서 이 두 책을 저본으로 한 것 같다.

우리 나라 농서로서 이 책에 인용되고 있는 것은 ≪구황촬요 救荒撮要≫와 ≪구황벽곡방 救荒辟穀方≫뿐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편찬자는 당시의 관행농법을 많이 인용함으로써 우리 나라 풍토 중심의 농서를 편찬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것 같다.

이 책의 하권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을 살펴보면, 종소(種蔬)에는 가지·고추·무·상추·파·미나리·마늘·생강·배추·수박·오이·참외·동아 등 20여 종에 대한 기록이 수록되어 있고, 종약(種藥)에는 지황(地黃)·구기(枸杞)·오미자(五味子)·당귀(當歸)·맥문동(麥門冬)·천궁(川芎) 등 12종의 약용작물에 대한 기록이 수록되어 있는데, 여기에 별종제품(別種諸品)이라 하여 대나무·연·담배·홍화(紅花)·쪽 등 12종이 추가되어 있다.

그리고 목양(牧養)에는 소·말·돼지·양·닭·거위·오리·물고기·누에·꿀벌 등에 대한 기록이 수록되어 있고, 구황방(救荒方)에는 10종의 구황식에 대한 조제(調製) 및 이용법이 설명되어 있다. 또, 벽곡제방에는 흡일법(吸日法)·불외한(不畏寒) 등과, 각종 장담그기, 식초만들기, 기름만들기, 술빚기 등이 설명되어 있고, 기용(器用)·조묵(造墨)·조필(造筆)·잡방(雜方)·생재(生財) 등 33종의 기타 기록이 첨가되어 있다.

이 책은 ≪산림경제≫ 이후 우리 나라의 종합농업기술을 다룬 두 번째 전통농서로서 ≪증보산림경제≫가 나오기까지 약 50∼60년간의 우리의 관행농법을 대부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나라 농업기술사상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농림수산고문헌비요』(김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2)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