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암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우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고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우상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고종 연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서문과 발문은 없으나, 고종 때 편집,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와 충남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권3에 소(疏) 1편, 책(策) 1편, 전(箋) 5편, 서(書) 14편, 권4에 서(書) 21편, 서(序) 8편, 기(記) 7편, 발(跋) 3편, 전(傳) 2편, 권5에 잡저 30여편, 권6에 뇌문(誄文) 2편, 상량문 2편, 축문 3편, 제문 14편, 묘지명 3편, 행장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 가운데는 「차공암팔경(次孔巖八景)」이 대표작이라 할만하다. 책의 「대삼정책(對三政策)」은 전부(田賦)와 군적(軍籍), 환정(還政)을 논한 글이다. 서(書)는 유후조(柳厚祚)·조두순(趙斗淳)·한계원(韓啓源)·홍순목(洪淳睦) 등에게 준 것이 많다.

서(序)에는 「자아헌서(自我軒序)」와 「사전기의서(四傳記疑序)」가, 기에는 「불능암기(不能菴記)」·「긍재기(肯齋記)」·「돈와기(遯窩記)」·「산수재기(山水齋記)」·「조양재기(朝陽齋記)」 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잡저에는 역(易)에 대하여 논한 「역상하편의(易上下篇義)」·「괘변관견(卦變管見)」 등 21편의 글과, 『시경』에 대하여 논변한 「억시(抑詩)」 외 1편, 『논어』에 대한 「논어학이편총론(論語學而篇總論)」 외 4편, 그밖에 「태극도강의(太極圖講義)」·「통서강의(通書講義)」·「묵장설(墨莊說)」 등이 들어 있다.

집필자
이신복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