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자회개 ()

낭자회개
낭자회개
언어·문자
문헌
개항기 개신교인 이수정이 번역한 것으로 추정되는 개신교서. 개신교전도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개신교인 이수정이 번역한 것으로 추정되는 개신교서. 개신교전도서.
개설

단권으로 되어 있으며 프랑스 파리 국립 동양어학교의 플랑시(Plancy) 문고 4권에 수록되어 있고 국내에는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편찬/발간경위

이 책에는 저자나 출판일, 출판사 등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수정(李樹廷)이 일본에서 성경 번역을 진행하면서 『감리교 요리문답서(監理敎 要理問答書)』와 전도용 소책자 두 권을 번역했다는 맥클레이(R. S. Maclay) 선교사의 보고서를 토대로 기독교계 및 관련 학계에서는 이수정이 이 책을 저술했다고 추정하고 있다.

이 책이 한문을 번역한 것이라는 점은 전도용 소책자를 번역했다는 맥클레이(R. S. Maclay) 선교사의 보고서 내용과 이 책의 본문에 수록되어 있는 ‘여러 ᄉᆞ람들리 말허기를 예수는 셔양국 셩인이니 즁국 ᄉᆞ람들은 그 교훈을 드를 ᄇᆡ 아니라 허나’라는 구절을 통해서 추정이 가능하다.

이 책이 이수정이 번역한 전도용 소책자가 맞다면, 맥클레이(R. S. Maclay) 선교사의 보고서 내용대로, 일본에서 바로 인쇄되지 못하고 원고 형태로 선교사들에게 전달되어 약간의 수정을 거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한문으로 된 저본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재까지 이 책의 저본이라 생각되는 한문본은 발견되지 않았다.

서지적 사항

활자본 단권이며 총 15페이지로 되어 있다. 세로쓰기이며 11행 24자로 되어 있다.

내용

신약성경 누가복음 15장 11절부터 32절까지에 나오는 ‘탕자의 비유’를 본문으로 제시한 후 이에 대한 해설을 덧붙였다. 누가복음에 나오는 탕자에 대한 이야기는 첫 페이지부터 시작하여 5페이지 첫째 줄까지 이어진다. 해설에 해당하는 5페이지 둘째 줄부터는 매행마다 한 글자씩을 내려 써 시각적으로 본문과 구별되도록 하였다.

해설 부분은 크게 둘로 나뉘는데, 5페이지 둘째 줄부터 6페이지 첫째 줄까지는 예수의 비유가 어떤 의의를 가지고 있는지 설명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탕자의 비유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이 비유가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설명하였다.

탕자의 비유에 대한 구체적인 해설에서는, 한 부친이 두 아들을 두었다는 내용, 작은아들이 불초하여 아버지의 재산을 가지고 떠나 재산을 탕진했다는 내용, 작은아들이 재산을 탕진하고 돼지가 먹는 비지를 먹으며 고생했다는 내용, 돌아온 작은아들을 보고 부친이 기뻐하여 잔치를 벌였으나 큰아들이 이를 보고 화를 냈다는 내용이 각각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한국인이 번역한 초기 기독교 문서라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가지고 있다. 아직 저자(또는 역자) 및 발행 시기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학계의 추정대로 이수정이 번역한 작품이라면 초기 기독교 문서로서의 의의가 매우 크다.

이 책은 또한 국어학적으로도 몇 가지 특징을 보이는데, 가장 큰 특징은 동사 ‘ᄒᆞ다’가 주로 ‘허다’로 표기된다는 점이다. 가끔 ‘ᄒᆞ다’ 또는 ‘하다’와 같은 형태가 보이기도 하지만 이 책에서는 ‘허다’의 출현 빈도가 압도적으로 높다.

표기법상으로는 체언의 곡용형은 주로 연철을, 용언의 활용형은 주로 분철을 하면서 아울러 ‘것시라’(것이라), ‘쥭기믈’(죽임을), ‘특별리’(특별히)와 같이 중철을 하기도 한다. 받침 표기와 관련해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만을 사용하는 칠종성법이 적용되었다.

ㅅ계 합용병서는 자주 사용되었으나 ㅂ계 합용병서는 사용되지 않았으며, ‘상졔가’와 같이 주격 조사 ‘가’가 아주 드물게 사용되었을 뿐 주로 주격 조사로는 ‘이’를 사용하였다. 1인칭 대명사 ‘ᄂᆞ’의 주격과 ‘랑ᄌᆞ’의 주격이 각각 ‘ᄂᆡ, 랑ᄌᆡ’로 표기되는 등 전통적인 하향이중모음 표기가 그대로 사용되었으며, ‘시골노’(시골로), ‘틀니면’(틀리면)과 같이 ‘ㄹㄹ’ 연쇄를 ‘ㄹㄴ’으로 적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텬디, 텬하’와 같이 구개음화 현상의 적용을 받지 않은 표기가 일부 한자어를 중심으로 나타나지만, 대개의 경우에는 ‘즐겁지, 어진, 침뉸’과 같이 구개음화 현상이 활발하게 적용된 모습을 보인다.

참고문헌

「PLANCY문고의 『랑ᄌᆞ회ᄀᆡ』에 대하여」(박희숙, 『한국어문교육』4, 1995)
「이수정의 개종과 활동」(이만열, 『빛과 소금』4∼5월호, 1988)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이동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