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자는 임진왜란 이후인 17세기 초에 전라도 나주목(羅州牧)에서 서적의 인출에 사용된 나무활자를 지칭하는 것으로 나주목활자(羅州木活字)라고도 한다. 1626년 음력 8월에 인출된『설문청공독서록(薛文淸公讀書錄)』의 권말에 기록된 “황명천계육년중추나주목활자간(皇明天啓六年中秋羅州牧活字刊)”이라는 인출기(印出記)가 있어 당시 나주목에서 만든 나무활자를 사용하여 서적을 인출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나주자를 사용하여 찍은 서적은 현재『설문청공독서록』1종만 알려져 있고, 여기에는 간기 이외에 활자 관련 기록이 없기 때문에 활자의 제작 시기나 경위, 활자의 보관, 인출된 서적 등은 알 수 없다. 활자 가운데 조정이나 감영에서 만들어진 것들은 관련 기록을 다수 확인할 수 있으나 나주자는 지방에서 만든 활자라는 점에서 활자와 관련된 기록을 확인하기 어렵다.
다만『설문청공독서록』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글자인 “之, 而, 以, 於, 爲, 下” 등의 글자를 조사하여 보면, 갑인자 계열의 활자이며, 특히 “下”자의 모양으로 볼 때 초주갑인자를 자본으로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활자 인면(印面)의 묵흔(墨痕)으로 보아『설문청공독서록』은 활자 제작 이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기에 인출되었음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적어도 1626년 이전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서적은 화산(華山) 이성의(李聖儀) 선생의 구장본(舊藏本)이었던 것으로 현재 고려대학교 화산문고(華山文庫)에 소장되어 있다.
이 활자는 현재 인출한 서적이『설문청공독서록』1종만이 알려져 있으나 임진왜란으로 피폐해진 상황에서 지방, 특히 나주에서 조선시대 가장 선호되었던 활자인 갑인자를 바탕으로 목활자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한국 고인쇄사(古印刷史), 특히 17세기 지방의 목활자 인쇄술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를 가지며, 앞으로 이 활자의 인본은 자료 발굴을 통하여 차츰 발견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