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대평동 유적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여러시대에 걸친 생활 관련 유물산포지. 생활유적.
이칭
이칭
경산대평동생활유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산시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여러시대에 걸친 생활 관련 유물산포지. 생활유적.
개설

경산 대평동유적은 대한주택공사 대구·경북지역 본부에서 추진한 대평동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2002년 3월 25일부터 2003년 6월 25일까지 영남문화재연구원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유적은 청동기시대, 통일신라시대, 조선시대의 생활유적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내용

대평동유적은 경산의 남쪽에 위치한 남천면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흘러 금호강과 합류하는 남천의 주변에 형성된 넓은 평야에 조성된 생활유적이다. 발굴조사 결과, 청동기시대의 도랑[溝] 1기, 통일신라시대의 구덩[竪穴] 80기, 건물터 12동, 기와퇴적층 2기, 도랑 14기, 우물 21기, 기둥구멍 무리[柱穴群] 15기, 도로 3기, 바퀴흔적 3기, 조선시대의 구덩 120기, 건물터 1동, 도랑 14기, 우물 11기, 기둥구멍 1동 등 모두 298기의 유구가 조사되었다.

유물은 청동기시대 석기 3점이 출토되었고, 통일신라시대 유물은 모두 728점이 출토되었다. 통일신라시대 출토 유물의 종류는 굽다리접시[高杯], 뚜껑[蓋], 짧은목항아리[短頸壺], 큰항아리[大壺], 병(甁) 등의 토기류와 이형토제품(異形土製品), 석제품(石製品), 각종 기와류와 쇠솥[鐵鼎], 청동그릇, 못 등의 금속류이다. 조선시대 유물은 종지, 접시, 대접 등의 자기류와 옹기류, 기와류 등 188점이 출토되었다.

참고문헌

『경산 대평동유적Ⅰ』(영남문화재연구원, 2005)
『경산 대평동유적Ⅱ』(영남문화재연구원, 2005)
집필자
배덕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