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불병좌상 ()

목차
관련 정보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
조각
개념
『묘법연화경』견보탑품의 내용 중 석가불과 다보불이 칠보탑 안에 나란히 앉은 모습을 형상화한 불상.
목차
정의
『묘법연화경』견보탑품의 내용 중 석가불과 다보불이 칠보탑 안에 나란히 앉은 모습을 형상화한 불상.
내용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을 중심으로 한 법화사상(法華思想)의 유행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는 이불병좌상의 조성이다. 벽화나 회화로 조성될 경우 『묘법연화경』견보탑품(見寶塔品)에서 석가불의 영취산 설법과 다보불의 등장, 그리고 칠보탑 안에 나란히 앉은 모습의 내용을 비교적 상세히 표현하지만 불상은 상징적으로 두 구의 불상만 나란히 배치한다.

『묘법연화경』이 중국에 소개된 것은 2세기경이지만 유행은 5세기경으로 이불병좌상 역시 북위시대 이후부터 활발히 조성된다. 중국의 3대 석굴인 주1, 주2, 주3을 비롯하여 병령사석굴, 주4 등에서 다양한 형태의 이불병좌상이 확인된다. 현재 프랑스 기메박물관에 소장된 북위시대 제작의 금동이불병좌상은 당시 북위 불상의 양식과 이불병좌상의 모습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에 비해 이불병좌상이 그다지 많이 남아 있지 않다. 통일신라시대의 청송 대전사(大田寺)에서 발견된 것으로 전해지는 청동이불병좌상과 황룡사지(皇龍寺址) 출토 금동이불병좌상, 고려시대의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보협인석탑(寶篋印石塔)에 새겨진 이불병좌상 등 약 7점 정도가 확인된다.

더불어 785년∼794년 동안 발해의 수도로 5경 중 하나였던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 옛터에서 8구 이상의 이불병좌상이 출토되었다. 동경용원부는 중국 지린성(吉林省) 훈춘(琿春) 팔련성(八蓮城)에 위치하며 고구려시대에는 이 지역이 중국과 국경을 이루던 곳이었다. 동경용원부에서는 이불병좌상의 제작이 많은 반면, 5경 중 또 다른 한 곳인 상경용천부(上京龍泉府)에서는 관음상을 주류를 이루고 있어 각 지역에서 유행하던 신앙과 사상적 특색이 결과적으로 불상 제작에도 영향을 끼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불교미술 기행』(조병활, 이가서, 2005)
『다보탑』(대구MBC, 이른아침, 2004)
「통일신라의 법화신앙과 불교 문화」(박광연,『한국사연구』150, 2010)
「발해 반납성 출토 이불병좌상의 연구」(임석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전 대전사 출토 청동이불병좌상의 일고찰」(문명대,『동국사학』13, 1976)
주석
주1

중국 산시성(山西省) 다퉁(大同) 서쪽에 있는 중국 최대의 불교 석굴 사원. 북위 시대인 460년에서 494년 무렵에 만들어졌으며, 중앙아시아 양식과 중국 양식이 섞여 있다. ⇒규범 표기는 ‘윈강 석굴’이다. 우리말샘

주2

둔황 동남쪽에 있는 석굴 사원. 약 500개의 석굴로 이루어져 있으며 353년에 만들기 시작하여 13세기 말까지 계속되었다. 본생담 및 정토변상의 벽화ㆍ진흙상이 있는, 불교 사상의 세계적 유적이다. 초기의 것은 간다라 말기의 양식을 나타낸다. ⇒규범 표기는 ‘둔황 석굴’이다. 우리말샘

주3

중국 허난성(河南省) 뤄양(洛陽)의 남쪽에 있는 석굴 사원. 윈강 석굴과 쌍벽을 이루는 중국의 대표적인 석굴 사원으로, 북위 때 만들기 시작하여 수ㆍ당으로 이어지고 송나라에서 끝났으나, 그 주요 부분은 5세기 말에서 7세기 후반에 이르는 불교 미술의 전성기에 조형되었다. 우리말샘

주4

중국 허난성(河南省) 궁현에 있는 석굴 사원. 북위(北魏) 때의 것으로, 불보살 외에 부조한 공양자 열상(供養者列像), 요벽(腰壁)의 낙천괴수(樂 天怪獸) 따위가 있다. ⇒규범 표기는 ‘궁현 석굴’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은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