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1232년(고종 19) 몽골의 침입으로 초조대장경판(初雕大藏經板)이 불타서 없어지자, 불교를 근간으로 한 민족적 염원을 모아 몽골을 물리치기 위해 대장도감(大藏都監)에서 간행한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 판본 가운데 하나이다. 『유가사지론』은 유가행파(瑜伽行派)의 기본적인 논저로, 인도의 미륵(彌勒)이 설한 것을 당나라 현장(玄奘, 602∼664)이 한역(漢譯)하였다.
이 책은 『유가사지론』전 100권 중 1축 1책으로, 재조대장경의 ‘당(堂)’함에서 ‘선(善)’함까지 수록된 『유가사지론』100권 중 ‘적(積)’함(函)에 들어 있다. 전체 26장인데, 제1장은 22행 14자이고, 둘째 장 이하는 23행 14자를 따랐다. 각 장의 크기는 대략 세로 36.8㎝, 가로 49㎝이다. 두껍게 뜬 좋은 품질의 순저지(純楮紙)에 인출하였다.
판식(版式)은 초조대장경판 체제에 따라 상하단변(上下單邊)이며 계선(界線)은 없다.
그러나 초조대장경에서는 서명, 권차, 장수, 함차를 본문 앞에 판수제(板首題)로 표시하고, 장수도 ‘장(丈)’자를 썼는데, 재조대장경인 이 책에는 본문 뒤에 판미제(板尾題)로 표시하고 장수에서도 ‘장(張)’자를 썼다. 뿐만 아니라 초조대장경과 달리 권말에 ‘병오세고려국대장도감봉칙조조(丙午歲高麗國大藏都監奉勅雕造)’라고 하여 1246년(고종 33)에 간행하였다는 간기(刊記)를 표기하였다. 인쇄가 정교하여 현존하는 재조대장경 판본으로는 품이 가장 돋보이며, 후인(後印) 시기는 14세기로 추정된다.
『유가사지론』전 100권은 본지분, 섭결택분, 섭석분, 섭이문분, 섭사분 등 5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분은 다시 여러 품으로 나누어져 있다.제1본지분(本地分)은 『유가사지론』의 기본 부분으로 17지(地)를 분별해서 설한다. 제2섭결택분(攝決擇分)에서 결택은 뜻을 밝혀서 의문을 풀어주는 것을 말하는데, 본지분에서 자세히 설하지 못했거나 의문나는 부분을 분별해서 설하고 있다. 순서는 본지분을 따르지만, 제1지∼제2지, 제3지∼제5지, 제16지∼제17지를 통합해서 다루었고, 제14 독각지는 다루지 않았다. 모두 문답식으로 되어 있는데, 전체 12단락으로 구성된 것 가운데 제7 문소성혜지(聞所成慧地)를 설명한 부분이 권64에 해당한다.
이 책은 ‘팔만대장경’이라고 불리는 해인사대장경을 완성한 직후인 13세기 중∼후기에 인출한 초기 간본으로 인쇄 상태가 선명하고 정교하다. 특히 표지 등이 원형대로 남아 있으며, 현전하는 재조대장경 간본(刊本) 중에서 고려 때 찍어낸 것으로는 보존 상태가 비교적 온전하여 가치가 높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