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찰갑 ()

과학기술
물품
철을 이용하여 만든 갑옷 미늘을 엮어 만든 갑옷.
이칭
이칭
유엽갑, 수은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철을 이용하여 만든 갑옷 미늘을 엮어 만든 갑옷.
개설

철을 이용하여 만든 갑옷 미늘을 엮어 만든 갑옷으로 조선 전기에 군용으로 사용된 대표적인 갑옷이다.

연원 및 변천

『세종실록』에는 작은 철편이나 가죽편을 가죽 끈으로 엮어 만든 찰갑이 소개되어 있다. 이 찰갑은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갑옷으로서 고구려의 기병이 입었던 찰갑이나 고려군의 찰갑과 기본 구조가 동일하다. 조선전기의 철찰갑으로는 수은갑(水銀甲)과 유엽갑(柳葉甲)이 있다. 조선 전기의 대부분의 병사들은 이러한 갑옷을 착용하였다.

구조 및 형태

찰갑은 쇠나 가죽으로 만든 타원형의 방호재 표면에 상하좌우로 각각 2~4개의 구멍을 뚫고 이를 가죽끈을 사용해 가로 방향으로 먼저 엮은 뒤 다시 이를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여 완성한다.

수은갑은 철편의 표면을 수은으로 도금하고, 이를 말위(靺韋)라고 하는 가죽으로 엮어서 만든 갑옷이다. 실록에 나타나는 납염철갑(鑞染鐵甲)ㆍ백철갑은 이와 유사한 갑옷이다.

유엽갑은 일반 병사들이 입던 가장 보편적인 철찰갑으로 철편을 옻으로 검게 칠하고 이를 연기를 쐰 사슴 가죽끈으로 엮어서 만들었다. 유엽갑은 찰이 나뭇잎처럼 생겼다고 해서 철엽아갑(鐵葉兒甲)이라고도 한다.

사용 방법 및 특징

철찰갑은 쇠로 만들기 때문에 화살로는 뚫기 어려울 정도로 방호력이 뛰어나고 제작비용도 피갑에 비해 저렴한 편이어서 많이 제작되었으나 갑옷 미늘을 엮은 가죽이 쉽게 닳아 끊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수ㆍ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세조때에는 많은 수의 철갑을 피갑으로 교체하기도 했으며, 연산군때에는 대부분의 병사가 피갑과 지갑을 입기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서례』
『한국의 갑주』(이강칠, 문화재관리국, 1987)
『한국무기발달사』(김기웅 외, 국방군사연구소, 1994)
『한국군복식발달사』(국방군사연구소, 1997)
『조선시대의 갑주』(박가영, 2003)
『조선의 무기와 갑옷』(민승기, 가람, 2004)
『우리나라의 전통무기』(박재광 외, 전쟁기념관, 2004)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국사편찬위원회 편, 경인문화사, 201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