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을 이용하여 만든 갑옷 미늘을 엮어 만든 갑옷으로 조선 전기에 군용으로 사용된 대표적인 갑옷이다.
『세종실록』에는 작은 철편이나 가죽편을 가죽 끈으로 엮어 만든 찰갑이 소개되어 있다. 이 찰갑은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갑옷으로서 고구려의 기병이 입었던 찰갑이나 고려군의 찰갑과 기본 구조가 동일하다. 조선전기의 철찰갑으로는 수은갑(水銀甲)과 유엽갑(柳葉甲)이 있다. 조선 전기의 대부분의 병사들은 이러한 갑옷을 착용하였다.
찰갑은 쇠나 가죽으로 만든 타원형의 방호재 표면에 상하좌우로 각각 2~4개의 구멍을 뚫고 이를 가죽끈을 사용해 가로 방향으로 먼저 엮은 뒤 다시 이를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여 완성한다.
수은갑은 철편의 표면을 수은으로 도금하고, 이를 말위(靺韋)라고 하는 가죽으로 엮어서 만든 갑옷이다. 실록에 나타나는 납염철갑(鑞染鐵甲)ㆍ백철갑은 이와 유사한 갑옷이다.
유엽갑은 일반 병사들이 입던 가장 보편적인 철찰갑으로 철편을 옻으로 검게 칠하고 이를 연기를 쐰 사슴 가죽끈으로 엮어서 만들었다. 유엽갑은 찰이 나뭇잎처럼 생겼다고 해서 철엽아갑(鐵葉兒甲)이라고도 한다.
철찰갑은 쇠로 만들기 때문에 화살로는 뚫기 어려울 정도로 방호력이 뛰어나고 제작비용도 피갑에 비해 저렴한 편이어서 많이 제작되었으나 갑옷 미늘을 엮은 가죽이 쉽게 닳아 끊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보수ㆍ유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세조때에는 많은 수의 철갑을 피갑으로 교체하기도 했으며, 연산군때에는 대부분의 병사가 피갑과 지갑을 입기에 이르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