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석린갑 ()

과학기술
물품
두석으로 만든 미늘을 연결하여 만든 갑옷.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두석으로 만든 미늘을 연결하여 만든 갑옷.
개설

두석린갑옷(豆錫鱗甲)은 두석(豆錫;놋쇠) 재질의 갑옷 미늘(甲札)을 옷에 부착해 만든 갑옷을 말한다. 갑옷 미늘이 마치 물고기나 용의 비늘처럼 생겨 어린갑(魚鱗甲)이나 용린갑(龍鱗甲)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두석린갑옷은 조선시대의 갑옷으로 표면이 작은 갑옷 미늘로 돼 있어 삼국시대의 찰갑과 유사해 보이지만 제조 방식에 차이가 있다. 삼국시대의 찰갑은 각각의 갑옷 미늘을 직접 가죽끈으로 연결하는 방식이지만 조선시대의 두석린갑은 두루마기 형태(袍形)의 옷 위에 갑옷 미늘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만든다.

구조 및 형태

두석린 갑옷은 합임식의 포형(袍形)으로 양옆의 배래기가 완전히 트였으며, 후면에는 등솔로 허리부분 이하가 트였는데, 트임부분에는 모두 털을 둘렀다. 재질은 겉감이 홍모(紅氈)을 사용하였고 속은 무명을 안감은 명주를 대었다. 황.적.흑색의 두석린은 소매의 상박부분과 복부까지만 첨부하였고 나머지 부분에는 두정을 박았으며 길상 문양을 놋쇠로 만들어 장식하였다.

두석린갑옷의 투구는 흑색 피혁으로 사주(四注)에는 놋쇠로 융기쌍조(隆起雙條)를 이루고 있다. 전후에는 봉황이 날아드는 형상을 새겼다. 정개에는 삼지창을 위시하여 보주ㆍ주락에 이어 한주가 개철에서 마무리짓고 전비는 역시 놋쇠로 반월형이나 앞에는 칠능(七稜)이고 안에는 용을 투조하였고 전비 밑으로 이마가리개를 만들어 정중에 원수(元帥)를 표시하였으며, 목가리개는 좌우와 후면으로 드리웠다.

제조 방법

두석은 원래 전통 목공예품이나 목조 건축물에 부착하는 금속제 부품이나 장식물을 의미하는 용어다. 두석은 재료 측면에서 보면 구리(Cu) · 아연(Zn)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인 황동(brass)의 일종이다. 두석은 강도가 그렇게 높지 않지만 금빛이 나기 때문에 장식용으로 쓰기에 적합하다.

주재료로 철보다 강도가 떨어지는 두석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 두석린갑은 방호력 같은 실전적 효능보다 장식적 효과를 상대적으로 더 중시한 갑옷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
『한국의 갑주』(이강칠, 문화재관리국, 1987)
『한국무기발달사』(김기웅 외, 국방군사연구소, 1994)
『한국군복식발달사』(국방군사연구소, 1997)
『조선시대의 갑주』(박가영, 2003)
『조선의 무기와 갑옷』(민승기, 가람, 2004)
『우리나라의 전통무기』(박재광 외, 전쟁기념관, 2004)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국사편찬위원회 편, 경인문화사, 201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