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찰갑 ()

과학기술
물품
생돼지가죽[生猪皮]으로 갑옷 미늘을 만들고, 그을린 사슴가죽을 엮어 만든 갑옷.
이칭
이칭
피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생돼지가죽[生猪皮]으로 갑옷 미늘을 만들고, 그을린 사슴가죽을 엮어 만든 갑옷.
연원 및 변천

주로 소가죽 또는 돼지가죽이 주원료로 사용한 피갑은 조선 전기부터 사용되었다. 『세종실록』에는 작은 철편이나 가죽편을 가죽 끈으로 엮어 만든 찰갑이 소개되어 있다. 이 찰갑은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갑옷으로서 고구려의 기병이 입었던 찰갑이나 고려군의 찰갑과 기본 구조가 동일하다.

한편 실록에 의하면 세조때 저피갑(猪皮甲)의 주재료인 산돼지 가죽의 가격이 폭등하여 저피갑 제작에 문제가 있으니 이를 혁파하여 달라는 지방관의 요청이 있어 소와 말가죽도 재료로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구조 및 형태

피갑은 두정갑과 같이 깃이 둥글고 좌우 섶이 맞닿으며 소매는 팔꿈치까지 닿고 길이가 무릎까지 내려온다. 자황색(赭黃色) 면에 백색 무명 안감을 넣어서 만들고 겉감에는 보상화당초문(寶相華唐草紋)을 검정색으로 날인하였다. 튼튼하게 하기 위하여 우피(牛皮), 저피(猪皮) 등의 피찰(皮札)을 연철(連綴)하여 안에 붙인 것이 겉에서 보기에는 옷 위에 놋의 못머리만이 정연하게 박힌 것처럼 보인다. 투구는 4개의 철판을 연결하여 둥글게 만들고 마름모꼴의 전비(前庇)를 앞에 부착하였다. 투구에 연결된 목가리개, 귀가리개의 안에도 피찰을 연결하였고 겉에는 당초문(唐草紋)을 날인하였다.

참고문헌

『조선왕조실록』
『국조오례의서례』
『한국의 갑주』(이강칠, 문화재관리국, 1987)
『한국무기발달사』(김기웅 외, 국방군사연구소, 1994)
『한국군복식발달사』(국방군사연구소, 1997)
『조선시대의 갑주』(박가영, 2003)
『조선의 무기와 갑옷』(민승기, 가람, 2004)
『우리나라의 전통무기』(박재광 외, 전쟁기념관, 2004)
『나라를 지켜낸 우리 무기와 무예』(국사편찬위원회 편, 경인문화사, 201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