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만들어진 조끼 형태의 철갑으로 검은색 목면 안에는 통으로 된 철판이 못으로 고정되어 있다. 흉갑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에 나타나는 철갑으로 이와 유사한 형태의 엄심지갑이나 목면배갑이 있다. 철엄심갑에 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현존하는 유물의 보존 상태나 앞섶을 채우는 버튼식 고리를 감안해 볼 때 구한말 대원군 시절에 국방력 강화책의 일환으로 제작된 것이 아닌가 한다. 또 지방읍지에 소개된 지방 군영에 비축되어 있던 흑색엄심(黑色掩心)도 철엄심갑의 일종이 아닌가 한다.
따라서 조선시대 철엄심갑의 실체는 불분명하지만 고려대 박물관·일본 야스쿠니신사의 유취관(遊就館)에 각 1점씩 남아 있어 조선 후기에 비교적 광범위하게 보급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갑옷 형태로 보아 상반신, 특히 가슴 부위를 중점적으로 보호할 목적으로 만든 갑옷으로 앞면의 겉감과 안감은 흑색 목면을 댔고 심지로서 두꺼운 무쇠를 통판으로 좌우길에 달았으며 두정(豆釘)으로 앞선과 밑단을 마무리 지었고 뒷면과 양옆부분의 겉감과 안감은 흑색 면(綿)을 사용하였고 심지는 흰색무명을 여러겹 누볐다.
형태는 목은 둥그렇게 파고, 합임(合袵)이며 앞길에는 배부분에 이르고 뒷길이는 엉덩이에 찰 정도로써 지금의 조끼와 같은 형태이다. 여밈장식은 장식고리와 같이 했으나 부속품이 떨어져 나가 어떠한 방식으로 열고 닫았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약간씩 형태에 차이가 있으나 조선시대 흉갑은 조끼 형태의 옷에 무쇠판 같은 방호력을 가진 소재를 내부에 넣은 것이 특징이다.
이 갑옷은 갑옷 형태로 보아 상반신, 특히 가슴 부위를 중점적으로 보호할 목적으로 만든 갑옷이다. 따라서 학자들은 흉갑이라고 부르고 있지만 조선시대 당시의 명칭은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또한 철엄심갑은 조선시대의 다른 갑옷들과는 형태가 너무 달라 단독으로 착용하는 갑옷이 아니고 ‘갑옷 내부에 추가로 입는 내갑(內甲)의 일종’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반대로 갑옷 내부에 입기에는 너무 두꺼우므로 내갑이 아니라 단독으로 착용하는 갑옷이 분명하며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면서도 조총에 대한 방탄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만든 갑옷’이라고 생각하는 학자들도 있다.
현대의 방탄조끼는 케블라(Kevlar)나 고성능 폴리에틸렌(Dyneema) 같은 특수한 섬유를 사용한다. 하지만 20세기 중반의 초창기 방탄조끼는 얇은 강철판을 천으로 감싼 것이었다. 조선시대의 흉갑은 20세기 중반의 방탄조끼와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만들어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