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주는 전투시에 전사(戰士)들이 몸을 지키기 위하여 착용하던 무구(武具)인데, 갑(甲)은 갑옷, 주(胄)는 투구를 이른다. ‘갑옷’은 전쟁에서 화살 ·창검을 막기 위해 쇠나 가죽의 비늘을 붙여서 만든 옷이며, ‘투구’는 적의 무기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머리에 쓰던 쇠모자이다.
우리나라에서의 투구는 선사시대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까지 남아있는 투구 유물은 삼국시대의 유물이다. 강력한 철갑기병을 가졌던 고구려는 몽골발형 투구나 좌우에 뿔이 달린 철투구를 사용했으며, 백제와 신라의 경우에는 찰주, 로마형 투구, 단순 원주, 이마가리개형 투구 등 매우 다양한 투구를 사용하였다.
특히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고구려군의 투구는 대부분 정개부(頂蓋部)·발부(鉢部)·목가리개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서 정개부에는 상모(象毛)가 드리워졌고 간주(幹柱)에 이어 개철(蓋鐵)이 장식되었으며, 발부는 5세기 중반 이후부터 좌우로 뿔이 솟아 있는 양상을 나타내며(쌍영총기사도·삼실총북벽기사도·삼실총서벽기사도), 목가리개는 턱 밑에서 매는, 즉 현재의 방한모와 비슷한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투구 형태에 대해서는 직접 참고할 만한 자료는 없으나 『고려도경』에 고려군은 평소에 투구를 머리에 쓰지 않고 등에 메고 다닌다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보아 투구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일본의 『몽고습래회사』에 여몽연합군의 일본 정벌시 고려군의 갑옷이 그려져 있는데, 여몽연합군의 갑옷은 갑찰을 연결하여 만든 길이가 긴 조끼형의 찰갑과 직물로 만든 포 형태의 갑옷이 있고 투구는 종장판을 연결하여 만든 감투에 뒷 드림을 달고 차양과 옆드림 부분에는 털을 댄 투구와 직물로 만들고 뒷목과 귀를 보호하는 드림과 턱을 보호하는 부분까지 모두 연결되어 있는 투구로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도 일반 병사들이 철제 투구를 착용했는데, 임진왜란때 왜군을 따라 조선에 들어왔던 포르투갈 신부는 조선군이 철제 투구와 가죽제 가슴받이를 착용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시에 조선군이 사용했던 투구는 『국조오례의서례』에 그려진 첨주와 원주였을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투구의 정수리 부분에 높은 간주가 달려있고, 투구의 좌우와 옆에 드림이 달려있는 간주형 투구가 일반적이었다.
국내외에서 발굴 내지는 전존되는 갑옷은 두석린갑주, 두정갑주, 피갑주, 쇄자갑주, 면갑주, 흉갑 등을 비롯하여 70여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