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저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도첨의찬성사, 검교첨의정승, 상의식목도감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폐행(嬖幸).
이칭
이칭
예안군(禮安君), 승안군(承安君)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317년(충숙왕 4)
출생지
예안현(禮安縣)
주요 관직
장군|동지밀직사사|도첨의찬성사|검교첨의정승|상의식목도감사
관련 사건
일본정벌
목차
정의
고려후기 도첨의찬성사, 검교첨의정승, 상의식목도감사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폐행(嬖幸).
생애 및 활동사항

본관과 가계는 자세하게 알 수 없으며 출신지는 예안현(禮安縣)이다. 충렬왕이 태자로서 원에 들어가 있을 때 충렬왕을 시종하였으며, 원 간섭기 때 사전(賜田)을 많이 받고 백성들을 전호(佃戶)로 만든 대표적 인물 중 한 명이다.

내료(內僚)로 벼슬을 시작했으며, 1278년(충렬왕 4)에 필도치[必闍赤]에 임명되었다. 원나라가 일본정벌을 준비할 때 전쟁에 나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장군 직책을 사직하기를 청원하였다. 충렬왕이 마제산(馬提山)으로 사냥을 가 대궐로 돌아갈 것을 잊을 정도로 사냥 재미에 빠지자, 사냥터의 말이 곡식을 짓밟아 백성들이 원망하고 있다고 왕을 설득하여 왕이 대궐로 돌아가도록 하였다. 아울러 왕이 민간의 집비둘기를 빼앗아 궁중에 바치도록 한 것도 되돌려 주도록 간언하였다.

1292년(충렬왕 18)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에 임명되었으며, 다음해에는 원나라에서 합포등처 진변만호부 부만호(合浦等處鎭邊萬戶府副萬戶)로 임명되었다. 1304년(충렬왕 30) 여러 관직을 거쳐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로 승진하였으며, 합포(合浦)로 나가 진수(鎭戍)하였다. 충선왕이 즉위한 후 검교첨의정승(檢校僉議政丞), 상의식목도감사(商議式目都監事)에 임명되었다. 1317년(충숙왕 4)에 사망하였다.

1282년(충렬왕 8) 1등공신에 책봉되었다. 이후 1311년(충선왕 복위3)에는 먼저 예안군(禮安君)으로 봉해졌다가 후에 승안군(承安君)으로 바뀌어 책봉되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왕조사: 충렬왕∼충정왕』(유재하, 학문사, 2000)
『원간섭하의 고려정치사』(김당택, 일조각, 1998)
『고려후기 토지제도연구』(박경안, 혜안, 1996)
『고려후기외교사연구』(장동익, 일조각, 1994)
「고려후기 응방의 설치와 운영」(이인재,『한국사의 구조와 전개: 하현강교수정년기념논총』, 2000)
「고려후기 사패전의 분급과 그 변화」(이숙경, 『국사관논총』49, 1993)
「고려 충렬왕대 정치상황과 정치세력의 성격」(이익주, 『한국사론』18, 1988)
「고려응방의 폐정: 주로 충렬왕대를 중심으로」(박홍배, 『경주사학』5, 1986)
집필자
박진훈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