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년 6월 11일부터 8월 10일까지『동아일보』에 연재 중 신문 폐간으로 중단되고, 1940년 10월부터 1941년 2월까지 『인문평론』에 연재가 재개된다. 그러나 일본총독부의 검열에 저촉되어 다시 중단된다. 이기영이 월북 후 1942년 대동출판사에서 『봄』이 간행되고, 1957년조선작가동맹출판사에서 보완, 수정하여 재출판 된다. 1989년풀빛 출판사에서 1942년판(대동출판사)을 저본으로『봄』이 간행된다.
작가의 유년 시절의 기억을 바탕으로 개화기 농촌 사회의 변모 양상을 풍속묘사를 통해 형상화한 자전적 성격의 가족사소설로 연대기적 구성이 특징이다.
작가의 유년시절 생활공간인 방깨울을 공간적 배경으로 하고, 러일전쟁(1904-1905) 직후부터 한일합방 이전을 시간적 배경으로 하여 양반 계급 출신인 유선달(유춘화) 일가가 몰락하는 과정을 통해 개화기의 시대적 현안인 ‘반봉건주의’를 주창하고자 하였다. 개화기에 반봉건 의식은 있으나 식민지 근대화에 대한 인식은 부족하여 몰락하게 되는 부친 유선달과 이에 비해 개화기 세대를 대표하는 아들 석림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유선달은 양반 계급이지만 마름이라는 신분으로 설정되어 과도기적 근대인을 표상한다. 계급적인 모순과 갈등은 아들 석림의 의식을 통해 표현되는데, 석림은 조혼을 비판하고 개화 문물과 학교 교육을 통해 개화사상을 형성하게 된다. 개화기의 과제인 반봉건주의 사상 역시 새 시대를 상징하는 석림의 시선을 통해 암시적으로 형상화된다. 석림의 혼사비용, 사립광명학교 기부금, 금점판 투기 등을 계기로 유선달 집안은 몰락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학교에 진학하지 못하지만 석림은 좌절하지 않고 장궁을 통해 동경유학의 꿈을 품게 된다.
일제 말 암흑기에 민족 정체성 회복을 내면적 주제로 하여 연대기적 가족사 서술을 통해 개화기의 역사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가족사소설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또한 당시 시대적 상황속에서 구시대적 봉건 세대의 모순을 드러내고 근대적인 세계관을 추구하며, 개화기에 근대화가 가져온 풍속과 의식의 변화를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일제의 검열이 심화되던 시대적 상황 속에서 연재되어 친일적 요소가 개입되었다는 부정적 측면을 지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