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작품
조명희(趙明熙)가 지은 단편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명희(趙明熙)가 지은 단편소설.
내용

1927년 7월 『조선지광』에 발표되었다. 발표 시기로 보면, 카프(KAPF: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가 제1차 방향전환을 꾀하여 목적의식을 가다듬으며 집단투쟁과 정치투쟁으로 나아가자고 주장했던 때이다.

이 작품에 대해서는 제1차 방향전환의 소설, 본격적인 프로소설의 첫 작품,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예시 등의 여러 가지 서로 다른 평가가 있다. 그러나 후대의 연구자들은 이 작품이 문제작이라는 점에 대해서는 이의를 달지 않는다. 이 소설은 1920년대의 사회주의의 대두 과정을 배경 음악처럼 깔아 놓으면서, 주인공 박성운의 비극적이고 영웅적인 일대기를 구체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낙동강」이 소설 양식인 이상, 주인공 박성운의 개인사가 중심을 이루면서 전면으로 튀어나와야 하는데, 1920년대의 사회운동사라고 하는 공적인 역사가 서사구조를 압도하는 결과를 빚어내고 있다.

박성운은 농민의 아들이며 어민의 손자로, 도립 간이농업학교를 마치고 군청 농업조수로 일하다가 3·1운동을 계기로 열혈투사로 활약한 것 때문에 1년 반 동안이나 감옥살이를 한다.

그는 출소한 후에도 서간도 · 만주 · 러시아 · 중국 등지를 돌아다니면서 계속 투쟁하였다. 5년 후 국내로 돌아와서는 경상도에 가서 사회운동을 일대 망라하는 능력을 보이기도 하였다.

한마디로 박성운은 1920대 중반에서 1930년대 초기까지 우리 소설에 자주 나타나는 ‘전위’ 또는 ‘주의자’의 모범적 존재요 대표적인 존재다.

이 소설은 박성운이 검사국으로 넘어가서 두 달 있다가 병을 얻어, 보석으로 출옥하는 것을 마을 사람들이 환영하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그리고 그가 죽은 다음 애인인 로사가 북행열차를 타고 가는 것을 묘사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

로사는 원래 형평 사원의 딸인데, 박성운이 형평 사원을 편들어 싸웠을 때 알게 된 후 박성운의 애인이 되었다가 나중에는 둘도 없는 동지가 된 여자다.

의의와 평가

이 소설에서 주목할 형식 요소로는 박성운이 지은 낙동강 민요가 삽입되어 낭만적 분위기를 돋우고 있는 점, 복자(覆字: 내용을 밝히지 않으려고 ○, × 따위의 표를 찍은 것)가 유달리 많은 점, 개인의 역사에 공적인 역사가 적극 개입하고 있는 점 등이 있다.

이 조그만 서사공간을 통해서 사회주의 유입 과정, 1920년대의 사상운동 양태 등과 같은 큰 문제를 알 수 있는 것이 이 작품의 강점이면서 약점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문학의 자계』(조남현, 평민사, 1985)
『한국현대소설사』(이재선, 홍성사, 1979)
『조선신문학사조사』(백철, 백양당, 194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