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성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의, 무신집권자 최충헌의 셋째 아들로, 고려의 제21대 왕인 희종의 사위가 되어 권세를 누렸던 왕족.
이칭
이칭
최보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58년(고종 45)
본관
우봉(牛峰)
출생지
개성
주요 관직
영가백|영가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의, 무신집권자 최충헌의 셋째 아들로, 고려의 제21대 왕인 희종의 사위가 되어 권세를 누렸던 왕족.
개설

본관은 우봉(牛峰). 무신집권자 최충헌(崔忠獻)의 셋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최충헌의 둘째부인 임씨(任氏)이다. 장인은 희종(熙宗: 11811237, 재위 12041211)이며, 부인은 덕창궁주(德昌宮主)이다. 뒤에 최보로 개명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최충헌의 권세에 힘입어 희종의 딸 덕창궁주에게 장가들어 종실의 반열에 올랐다. 그 위세가 얼마나 대단했던지 최성(崔珹)이 친영(親迎: 신랑이 신부를 맞이하는 의례)하는 날에는 종친(宗親)·재추(宰樞)·백관(百官)들이 공복(公服)을 갖추어 입고 최성의 뒤를 따랐다고 한다. 처음에 영가백(永嘉伯)에 책봉되었다가 후에 영가후(永嘉侯)로 승진, 책봉되었다. 최성의 아들 최해(崔該)도 의춘후(宜春侯)로 책봉되었다. 왕실종친의 지위를 누리다가 1258년(고종 45) 2월 세상을 떠났다.

1258년 3월 무오정변(戊午政變)으로 최씨무인정권이 붕괴되자 중서성(中書省)에서 최성의 장례를 두고 최성이 최충헌의 권세에 힘입어 억지로 공주(덕창궁주)에게 장가들었기 때문에 종친과 같이 장례를 치를 수 없다고 반대하였다. 이에 고종은 중서성의 건의를 받아들여 최성의 종친 자격을 박탈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사 열전』(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편, 경인문화사, 2006)
『고려의 무인정권』(김당택, 국학자료원, 1999)
「최충헌 정권 연구」(김대중, 서강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최충헌 묘지명」(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상, 한림대출판부,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