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구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수사공 등을 역임한 문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본관
우봉(牛峯)
출생지
개성
주요 관직
수사공(守司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 후기에, 수사공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우봉(牛峰). 무신집권자였던 최충헌(崔忠獻: 11491219)의 넷째 아들이다. 어머니는 강종(康宗: 11521213, 재위 1211~1213)의 서녀 정화택주(靜和宅主) 왕씨(王氏)로 최충헌의 세 번째 부인이었다. 최충헌과 정화택주 사이에는 최구 외에도 조계종(曹溪宗)으로 출가한 선사(禪師)가 있었다고 한다.

생애 및 활동사항

최충헌의 총애를 받아 벼슬이 수사공(守司空) 주국(柱國)에 이르렀다. 최충헌이 사망하자 최우집권기 권력 중심에서 배제되면서 공부시랑(工部侍郞)으로 좌천되었다. 최구는 최씨 무신집권자와 고려 왕실의 결합관계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의 무인정권』(김당택, 국학자료원, 1999)
「최충헌 정권 연구」(김대중, 서강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3)
「최충헌 묘지명」(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상, 한림대출판부, 200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