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송 ()

현대문학
문헌
형설출판사에서 최원규의 시 「봉곡사행」 · 「자음송」 · 「겨울 강화행」등을 수록하여 1973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형설출판사에서 최원규의 시 「봉곡사행」 · 「자음송」 · 「겨울 강화행」등을 수록하여 1973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A5판형. 115면. 형설출판사에서 1973년 7월 5일에 발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시집의 앞에 표제를 쓴 김구용(金丘庸)의 글씨가 있고, 시인의 연보, 조연현(趙演鉉) ‘서’, 목차, Ⅰ부∼Ⅲ부에 총44편의 작품, 문덕수(文德守)의 해설이 실려 있다.

내용

Ⅰ부에 실린 19편의 시는 주로 일상의 체험들을 잔잔한 산문적 문체로 그려내고 있다. 그 중 「봉곡사행(鳳谷寺行)」은 어린 시절 어머니 등에 업혀 봉곡사에 갔던 회상을 다루고 있으며, 「내탑행(內塔行)」은 박두진 시인과 수석을 찾으러 갔던 일을 그리고 있다.

Ⅱ부에는 열 다섯 개의 자음을 내세운 연작시 「자음송」과 「모음송」 등이 배열되어 있다. 「자음송」은 한글 자음의 형상에서 유추되는 모습들을 그려내고 있다. 예를 들면, ‘ㄱ’은 “으뜸가는 나무/머리를 굽히고 생각하고 있다”로, ‘ㄴ’은 “넉넉하고 너끈하다/받아들이는 모습의 여인”으로 형상화한다. 또 ‘ㄷ’은 “빈 삼태기”로, ‘ㄹ’은 “이리 틀리고/저리 틀리는/불안정”으로 그린다.

Ⅲ부에 실린 7편의 시는 자연물을 통해 자아의 시정을 읊고 있다. 특히, 자연물 중에서도 유독 ‘나무’에 대한 묘사가 집중되는데, “그를 만난 것은 산에서였다/그는 늘 울부짖고 있었다/이제 오십이 지났단 말이요/나도 이제 질질 끌려갈 수 없단 말이요”(「나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연물에 자아를 투사하여 삶의 여러 주제를 형상화하는 기법이 사용된다.

의의와 평가

최원규는 1961년 첫 시집 『금채적(金彩赤)』을 발간한 이후 1973년의 『자음송」에 이르기까지 4권의 시집을 상재한 다작의 시인으로 언급되며, 서정시의 울타리에 일상적 삶의 애환과 현대적 감각을 불어 넣으려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자음송」 연작의 경우 한글의 자음을 사물화하여 그 이미지를 개성적으로 형상화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시사』(오세영 외, 민음사, 2007)
『한국현대문학사 1945-1990』(권영민, 민음사, 1993)
집필자
이태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