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4년(명종 4)에 왕의 명령으로 좌소(左蘇) 백악산(白岳山), 우소(右蘇) 백마산(白馬山), 북소(北蘇) 기달산(箕達山)을 삼소로 정하고 그곳에 연기궁궐조성관(延基宮闕造成官)을 설치하였다. 이것은 도선(道詵)의 지리도참설 밀기(密記)에 근거하여 나라의 기초를 연장하기 위해 궁궐을 짓기 위한 것이었다.
『고려사(高麗史)』백관지(百官志)에 의하면, 1378년(우왕 4)에 도읍을 옮기고자 의논하여 삼소에 궁궐을 창건하였다는 국사(國史: 高麗王朝實錄)의 글이 있으므로 삼소조성도감(三蘇造成都監)을 두게 되었고 한다. 『고려사』 열전에 따르면, 우왕은 그해 11월에 수도를 개경에서 삼소 가운데 하나인 북소로 옮기려고 북소조성도감(北蘇造成都監)을 설치하였다. 우왕이 천도를 계획한 것은 개경이 바다를 끼고 있어 왜구로부터 환난을 당할까 우려되고, 지기(地氣)에는 성쇠가 있으며, 개경으로 도읍을 정한지도 오래 되어 수도로서 마땅한 곳을 택하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당시 조정의 의논은 북소, 즉 협계(峽溪)는 산골에 치우쳐 있어 선박의 왕래와 인마의 교통이 불편하다 하여 마침내 그 계획은 중지되었다.
이에 같은 해 12월 좌소 백악산으로 도읍을 옮기기 위해 좌소조성도감(左蘇)을 설치하였다. 좌소조성도감의 경우, 다음해인 1379년(우왕 5) 정월에 농사짓는 데 방해가 된다는 비판이 거세게 일어 2월에 좌소로 천도하려는 계획은 철회되었다. 이후 우소조성도감(右蘇造成都監)이 조성되었는지는 관련 사료에 등장하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