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문이 열리든 날 (이 열리든 날)

현대문학
문헌
신학사에서 김상민의 시 「옥문이 열리든 날」 등 25편을 수록하여 1948년에 간행한 시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신학사에서 김상민의 시 「옥문이 열리든 날」 등 25편을 수록하여 1948년에 간행한 시집.
개설

12×17.7(cm), 144면. ‘상민(常民)’이란 필명으로 1948년 신학사에서 발행하였다. 표제시「옥문이 열리든 날」을 포함 25편의 작품이 수록되었다. 서문 없이 발문은 김상훈(金尙勳)이 썼으며, 표지작업은 최은철(崔恩哲)이 담당했다.

내용

김상민은 1944년 항일 결사조직 협동당(協働黨) 별동대에 가담하여 춘천, 포천,금화, 가평의 접경에 위치한 발군산을 근거로 활동하다가 1945년 1월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서대문 형무소에 투옥된다. 옥고를 치르며 몸은 쇠약해졌고 건강이 날로 악화될 즈음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고 자유의 몸이 된다. 이 때 일들을 시화하여 작품으로 만든 시편들이 시집『옥문이 열리든 날』에 일부 실려 있다.

김상민은 1945년 11월김상훈이 주관했던『민중조선(民衆朝鮮)』에 시「해방」에 실림으로써 등단한다. 이때 전위시인 유진오와 김상훈도 함께 등단했다. 이후 곧 조선문학가동맹에 가담하였고, 공산당 외곽조직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정황들이 이 시집에 담겨있다.

김상훈의 발문에 따르면 김상민은 발군산의 근거지에서부터 줄기차게 시를 써서 동지들에게 읽어 주었고 대원들은 그 시를 듣고 감격과 용기를 얻었다고 한다. 이 시집의 내용은 일제를 저주하고 항쟁하는 것을 주조로 하고 있으며, 말의 선택이나 기교에 치중하지 않고 민족적 저항의지를 정면으로 표현하고 있다. 주로 고백적 서술에 의지하여 혁명의 추진력을 도모하고 있다.

김상민의 본명은 정기섭(丁驥燮)이다. 지주의 자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소유한 모든 것을 버리고 새로운 인간형으로 변신한다. 김상민이라는 이름은 그러한 그의 의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표증이다. 이 시집 또한 그러한 시인의 굳은 신념과 의지를 생생한 목소리로 담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시집은 해방기 한국 시단의 흐름을 가늠할 수 있는 전형적인 내용과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식민지 시대 기성시인들의 위축된 삶의 자세와 협소한 세계관과 대비되어 해방기 사회 모순을 깊이 인식하고 적극적 자세로 대응한 시적 반응으로서 평가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 현대경향시의 형성』(김용직, 국학자료원, 2002)
『해방기 한국 시문학사』(김용직, 민음사, 198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