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영 ()

회화
인물
일제강점기 「자화상」 · 「님프의 죽음」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문장가.
이칭
이칭
유방(惟邦), 포경(抱耿)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9년(고종 26)
사망 연도
1960년
출생지
평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자화상」 · 「님프의 죽음」 등의 작품을 그린 화가. 문장가.
개설

일본 도쿄미술학교(東京美術學敎) 서양화과를 졸업한 한국 유화가 1세대이다. 「자화상(自畵像)」과 「님프의 죽음」을 졸업작품으로 제출하였는데, 현존작으로는 도쿄예술대학교(東京藝術大學校) 미술관 소장의 「자화상(自畵像)」이 유일하다. 우수에 잠긴 눈동자와 노을 진 석양 빛 하늘 배경에서 외광파 양식과 낭만적 성향을 확인할 수 있다. 「님프의 죽음」은 작품이 망실되었고 작품 이미지도 발견되지 않은 상태여서 작품 양식을 확인할 길이 없지만 작품 제목에서 ‘님프’ 와 ‘죽음’이 제시하는 분위기로 미루어 볼 때 낭만적 유미주의 경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20년대 초반에 『폐허(廢墟)』, 『창조(創造)』, 『영대(靈臺)』동인으로 활동 하면서 후기인상파 이후의 현대미술을 주장하는 글을 발표하는 한편 상징주의 양식의 표지화와 삽화를 그렸다. 한국유화가 1세대로 조선미술전람회 출품을 거부하였고 낭만적, 상징적 유미주의를 추구했다. 한국 최초의 모더니스트로 평가할 수 있으나 작품 활동 기간이 매우 짧고 미약하다.

생애 및 활동사항

호는 유방(惟邦), 포경(抱耿)이다. 평양의 부호 김진모(金鎭摸)의 차남으로 평양에서 출생하였다. 고희동(高羲東)과 김관호(金觀鎬)에 이어 세 번째로 일본 도쿄미술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였고(1912∼1917년), 귀국 직후 평양에서 개인전을 열었다(1917년). 1920년대 초반에 『폐허(廢墟)』, 『창조(創造)』, 『영대(靈臺)』동인으로 후기인상주의 미술 이후의 현대미술을 옹호하는 글과 더불어서 시, 산문 등 문필활동을 하는 한편 모던한 표지화와 삽화를 그렸다. 1925년에 평양에서 활동하던 김관호, 김윤보, 김관식 등과 함께 삭성회를 조직하고 삭성회화연구소를 개소하여 후진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1928년에 삭성회미술학교 승격을 촉진하기 위한 ‘삭성미술학교설립 기성회’ 준비위원으로 참여하였다. 1930년대부터는 작품 활동을 접고 고미술품 소장가로 활동하였으며 광복 후에는 영화 수입업을 하였다.

참고문헌

「김찬영 연구-한국 최초의 모더니스트 미술가」(김현숙, 『한국근대미술사학』제6집, 한국근대미술사학회, 1998)
「현대예술의 대안에서-회화에 표현된 ‘포스트임프레셔니즘’과 ‘큐비즘’」(김찬영, 『창조』, 1921.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